11월 153개…19개월만에 최대
지난달 국내 부도업체 수가 1년7개월 만에 최대로 늘었다. 정부 지원에 기대 연명한 '한계기업'이 서서히 퇴출당하는 신호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은 11월 중 부도업체(개인사업자 포함)가 153개로 10월보다 24개 늘었다고 19일 밝혔다. 월별 부도업체 수는 지난해 4월의 219개 이후 가장 많았다.
한은 금융시장국 나영인 과장은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이 점차 종료되거나 축소되면서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은행의 리스크(위험) 관리 강화 등으로 중소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 부도업체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8개에서 51개로 3개 증가한 데 그쳤지만 지방은 81개에서 102개로 큰 폭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36개에서 34개로 줄었을 뿐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35개와 47개에서 46개와 58개로 11개씩 늘었다.
신설법인은 지난달 4천895개로 10월보다 73개 많아졌다. 그러나 부도법인 증가 폭을 밑돌아 부도법인 수에 대한 신설법인 수의 배율은 50.8배에서 47.1배로 하락했다.
금액을 기준으로 따지는 어음부도율은 0.03%로 10월보다 0.01%포인트 높아졌다.
서울과 지방이 0.02%와 0.07%로 모두 0.01%포인트씩 상승했다.
지자체 중에서는 부산에서 한 도.소매 업체의 600억원대 어음 위.변조 사건이 발생해 어음부도율이 0.25%로 유독 높았고 제주(0.10%)와 대구, 강원, 충북(이상 0.08%) 등이 높은 편이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