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서울-수원, 첫판에서 격돌..'이젠 K-리그다'

한국 프로축구 K리그를 대표하는 라이벌전인 FC서울-수원 삼성의 맞대결이 시즌 첫 판부터 벌어진다.

 

서울과 수원은 6일 오후 2시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1 1라운드 경기를 치른다.

 

두 팀의 대결은 서울의 전신인 안양LG 시절 '지지대(1번 국도 안양-수원 사이 고개 이름) 더비'로 불리며 이후 국가대표급 선수와 사령탑의 격돌, 모기업의 경쟁 관계 등까지 맞물려 늘 화제를 뿌렸다.

 

최고의 라이벌매치답게 2007년 4월8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치른 경기에서는 당시 한국 프로 스포츠 사상 한 경기 최다인 5만5천379명의 관중이 들어설 만큼 축구팬의 관심이 쏠렸다.

 

이후 최다 관중 기록은 지난해 5월5월 같은 장소에서 치러진 서울-성남 일화의 경기(6만747명)에 내주긴 했지만, 서울과 수원의 맞대결에는 늘 구름관중이 몰렸다.

 

홈팀 서울은 이번에 2004년 4월3일 부산과 경기에서 기록한 개막전 최다 관중 기록(4만7천928명)을 깰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열린 K리그 개막 기자회견에서부터 양 팀의 사령탑은 날을 세웠다.

 

16년간의 일본 생활을 접고 서울 감독으로서 K리그에 첫발을 내딛는 황보관 감독은 수원과 대결에 대해 "홈에서 역사에 남을 시원한 경기를 해보겠다"면서 "팬들이 좋아할 만한 점수인 3-2로 이길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에 윤성효 수원 삼성 감독은 "개막전을 원정 경기로 치르는데 홈팀보다는 부담감이 덜 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원정에서 너무 많은 골을 넣고 이기면 홈 팬들에게 욕을 먹을 테니 1-0 정도로만 이기겠다"고 맞받아쳤다.

 

올해 두 팀은 알찬 선수 보강 등으로 변함없이 K리그 최고의 명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디펜딩챔피언으로 2년 연속 K리그 정상에 오르려는 서울은 정조국(오세르), 김진규(다롄) 등 지난해 우승 주역 일부가 팀을 떠났지만 우즈베키스탄 국가대표 세르베르 제파로프와 재계약하고 '콜롬비아 특급' 몰리나를 성남 일화에서 영입해 기존 멤버 데얀, 아디와 함께 K리그 16개 팀 중 최강이라 평가받는 '용병 파워'를 구축했다.

 

지난해 FA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지만 리그에서는 성적이 신통치 않았던 수원은 골키퍼 정성룡과 미드필더 이용래를 비롯해 공격수 최성국, 수비수 오범석, 미드필더 오장은 등 국가대표 출신 선수들을 대거 영입하며 '명가 부활'을 선언했다.

 

'통곡의 벽'이라 불리던 중앙수비수 마토를 다시 영입했고, 우즈베키스탄 대표팀의 간판 공격수 알렉산데르 게인리히를 새로 뽑는 등 선수단 구성에 변화가 컸다.

 

서울과 수원은 맞대결을 앞두고 치른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첫 경기에서 살짝 전력을 드러냈다.

 

서울은 3일 오전 알 아인(아랍에미리트)과의 대회 조별리그 F조 1차전 원정경기에서 전반 25분 데얀의 결승골로 1-0으로 이겼다. 황보관 감독이 서울 지휘봉을 잡고 치른 첫 공식 경기에서 승전가를 불렀다.

 

반면 수원은 전날 시드니FC(호주)와의 H조 1차전 원정경기에서 상대 선수 한 명이 퇴장당해 수적 우위를 점하고도 0-0으로 비겨 서울과는 희비가 엇갈렸다.

 

서울과 수원의 역대 맞대결에서 수원이 24승14무20패로 근소한 우위를 점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서울이 2승1패로 앞섰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대한민국 행정 중심엔 지방정부…모든 주민 만족할 성과 내달라”

정치일반대통령실 “감사원 정책감사 폐지…직권남용죄 엄격히 적용”

정치일반전북도, 복권기금 녹색자금 공모 3개 시·군 사업 선정… 국비 14억 확보

정치일반새만금개발청, 핵융합에너지 연구기지 경쟁력 모색

경제일반[건축신문고]건축설계변경, 언제까지 건축사가 안고가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