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다양한 가정용 서비스가 미리 설치된 태블릿PC인 스마트홈 패드를 31일 출시한다고 27일 밝혔다.
라이프 자키, 올레TV 나우, 스마트홈 통화, 홈시큐리티 등 다양한 서비스가 설치돼 스마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홈 패드의 단말은 삼성전자의 갤럭시탭 8.9 와이파이(WiFi) 모델이다.
WXGA(1280×800)의 고해상도와 457g의 무게, 두께 8.6㎜로 휴대성이 강화된것이 특징이다.
KT는 40~50대 주부를 스마트홈 패드의 주사용층으로 공략할 계획이다.
스마트기기에 친숙하지 않은 주부들이 휴대가 편리한 태블릿PC를 이용해 가정에서 다양한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능을 구성했다.
라이프 자키는 음악다방 시절의 디스크자키(DJ)에서 영감을 얻은 콘텐츠 서비스다.
원하는 곡을 신청해서 들을 수 있는데, 이용자의 성향을 분석해 그에 맞는 음악·영상·뉴스·쿠폰 등을 추천해주고 이용자의 얼굴을 촬영해 연령대에 어울리는 음악을 알아서 골라주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올레TV 나우는 1만1천편의 주문형비디오(VOD)와 40개의 실시간 채널을 제공하는 동영상 서비스다.
스마트홈 패드의 휴대가 편리하므로 다른 방송을 TV로 보는 가족과 같은 공간을 공유하면서도 시청할 수 있다.
스마트홈 통화는 와이파이가 되는 곳에서는 어디서든 저렴한 요금으로 선명한 고화질의 영상통화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한다.
통화를 하면서 사진·웹페이지 등을 공유할 수 있는데, KT는 12월 최대 4명까지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다자간 영상통화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홈시큐리티는 센서를 통해 침입을 감지하고 신호 수신 시 스마트홈 패드를 통해 경보음을 울려주는 방식의 보안 솔루션이다.
정보를 고객에게 문자메시지(SMS)로 통보하고 보안서비스업체에 신고를 해주는 기능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홈 패드 요금과 별도로 요금(월5천원,설치비 7만2천원)을 청구한다.
이외에도 가족 간 사진과 일정을 공유하는 해피 패밀리, 의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홈 닥터, 동영상·사진·음악 등을 PC와 공유하게 하는 스마트홈 플레이, 집 주변 상가 정보를 찾아 통화 연결할 수 있는 우리동네엔(n) 등도 기본 서비스로 제공된다.
사용 요금은 단말기 값을 포함해 한 달에 3만5천708원(2년 약정시)이다.
영상·음성 통화 100분, 올레와이파이 싱글과 전용 서비스를 포함한다.
KT는 "스마트홈 패드는 40~50대 고객에게 특화된 태블릿PC"라며 "앞으로 집안의 모든 유선전화를 스마트홈 패드로 바꿔 본격적인 스마트홈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KT는 이날 스마트홈 패드의 출시를 기념해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주부들을 초청해 론칭 행사를 개최했다.
이휘재·박미선이 MC를 맡은 이날 행사에서 주부들은 스마트홈 패드를 직접 체험했다.
서유열 KT 홈고객부문 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스마트홈 패드의 출시는 KT가 가정을 스마트홈으로 탈바꿈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서 사장은 "올초 영유아 교육용 로봇인 키봇을 출시한 데 이어 12월에는 초등학생도 대상으로 하는 키봇2를 출시할 예정"이라며 "내년에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반려로봇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