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품·하청업체 2000억대 피해 추산 / "재산은닉, 고의부도" 주장 검찰 고소
쌍용과 대우 등 대기업에 자동차 휠을 납품하며 연간 1500억 원 규모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도내 중견기업 ASA가 급작스레 법정관리에 들어가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ASA에 자재를 납품하는 도내 50여 업체와 하청업체 4곳에서 크고 작은 금전 피해가 발생, 일부 업체들이 'ASA 대표의 재산은닉' 의혹을 주장하며 검찰에 고소해 파장이 일고 있다.
고용인원만 300명이 넘는 ASA는 자동차 휠을 생산하는 업체로 전주공장과 김제공장, 그리고 충남 금산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재무재표 상 ASA는 연간 1500억 원 규모의 매출을 올렸고 매년 50억 원 가까운 흑자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지난 3월 27일 ASA는 급작스레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고 법원은 이를 받아 들여 법정관리가 이뤄지고 있다.
ASA의 법정관리로 인해 소액주식을 가지고 있는 주주들은 물론 납품업체 등의 피해자가 1000여명에 가깝고 피해금액도 2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납품결제 과정에서 약속어음을 받은 납품업체와 일부 소액주주들은 이번 법정관리에 대해 "회사 대표로 있던 A씨가 의도적으로 부도를 내고 재산은닉을 시도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ASA 전주공장과 김제공장에서 나온 비용 228억 원을 공장 가동도 하지 않는 충남 금산공장에 대여해준 후 이를 전주와 김제공장에서 각각 대손처리 시켰다는 게 관련 인사의 설명이다. 또한 출처가 불분명한 중국 기업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대표 A씨가 법정관리에 앞서 ASA 전주공장에 팔았다고 한다.
A씨는 또 법정관리에 앞서 금산공장의 주주임원 대여금 18억 원도 상환해간 점으로 미뤄 다분히 재산은닉 의도성이 엿보인다는 게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법정관리로 인해 피해를 입은 당사자들은 일부 대금을 회수하기 위해 대표 A씨가 소유한 재산 추적에 나선 상태지만 A대표는 이미 자신의 명의로 된 재산을 매각처분하거나 타인명의로 변경해 사실상 회수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A대표는 자신의 명의로 된 재산을 친인척 명의로 매각을 시도, 고의적 재산은닉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피해자 B씨는 "대표 A씨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선의의 피해자를 양산시키고 있다"며 "친인척에게 재산을 매각한 정황을 상당수 확보한 상태여서 검찰 수사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A대표는 "지금 상황에서 그 어떤 말도 해줄 수 있는 게 없다"고 일축했다.
ASA 관계자는 "작년에 대규모 금액의 설비투자를 시도하려 했지만 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해 연금 유동성에 빠진 게 원인인 것 같다"며 "현재 검찰 조사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뭐라 말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지만 전임 대표가 개인적 문제로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답변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