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주시, 동네복지 완성도 높인다

1년 2개월간 진행된 시범사업 개선안 논의 / 시범동 평가·연구 결과보고

전주시가 동네복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등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기로 했다.

 

전주시는 15일 전주시자원봉사센터에서 ‘동네복지 시범동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용역’ 최종 결과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회는 민선6기 중점 복지시책으로 추진 중인 동네복지 시범사업의 종료를 앞두고 그간의 사업운영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에 대해 동 주민센터 및 복지기관·단체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연구용역 기관인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최옥채)은 “2017년부터는 ‘행복동네 만들기(가칭)’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구진이 제시한 이 사업은 국가정책인 ‘동 복지허브화’사업과 동네복지를 병행 추진하거나, 동 복지허브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동네복지 특화사업을 결합해 추진하는 상호보완형 방식이다.

 

연구진은 “행복동네 만들기는 동의 복지기능을 강화해 취약계층 중심의 복지 지원과 동 단위의 민관 복지안전망 구축을 주요 목표로 동 복지허브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 △사례관리 △동 차원의 복지자원 발굴 활용 추진 등을 제안했다.

 

또 “다른 한 축에서는 ‘복지동네 만들기’를 통해 주민 전체의 복지 수준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주민 주도의 복지공동체 조성과 동네 특성을 살린 특화사업 등을 추진하는 방안이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지난 1년 2개월 동안 시범사업으로 추진된 동네복지사업의 성과와 개선해야 할 점도 소개됐다.

 

전주시는 이번에 실시한 동네복지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2017년도 동복지허브화 사업과 연계한 동네복지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양영숙 전주시 생활복지과장은 “앞으로 한국사회의 지역사회복지 흐름과 정책 동향에 발맞춰 전주만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개편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계획을 수립해 동네와 주민이 중심이 되는 동네복지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백세종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기초의원 다치면 '두번' 챙긴다"···상해보상 ‘겹치기 예산’

자치·의회서난이 전북도의원 “전북자치도, 금융중심지 지정 위해 분골쇄신 필요”

자치·의회최형열 전북도의원 “지사 발목 잡는 정무라인, 존재 이유 의문”

사건·사고‘남원 테마파크 사업 뇌물 수수 의혹’⋯경찰, 관련자 대상 내사 착수

국회·정당도의회, 전북도 2036올림픽추진단 올림픽 추진 업무 집중 질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