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탄소융합기술원, 지난 17일 ‘개인 항공기’ 기술실용화 포럼
도심 상공서 사람·화물 운송하는 수단으로 막대한 부가가치 전망
시 “탄소소재로 핵심 부품 제작 동시에 관련 기술·산업 선점할 것”
탄소복합소재 상용화에 주력하는 전주시가 미래 이동수단인 개인항공기(PAV·Personal Air Vehicle) 산업에도 뛰어들었다. 시와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PAV 탄소소재·기술 실용화를 바탕으로 PAV 관련 기술·산업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전주시와 (재)한국탄소융합기술원은 지난 17일 한국탄소융합기술원 교육센터에서 ‘2020 모빌리티의 미래 PAV 기술실용화 촉진을 위한 Tech-Day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개인항공기(PAV)를 주제로 기술원의 탄소융복합 기술과 탄소소재 상용화 현황을 알리고, 관련 사업 최신 정보와 신기술에 대해 공유했다.
드론택시는 대표적인 개인항공기로 도심 상공에서 사람과 화물을 운송하는 수단으로 향후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되는 신산업이다.
포럼 기조강연에는 이재우 한국항공우주학회장(건국대 교수)이 나서 ‘비행안전 확보를 위한 3도심 항공 교통 운항체계 및 전망’을 발표했다.
이 교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인 디지털 트윈을 적용해 도심항공교통의 자율화 기술 및 안전한 운항체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디지털 트윈의 구성 요소 및 핵심기술을 소개했다.
수잔네 뷜레 한독상공회의소 부대표, 신상준 서울대학교 교수, 신복균 한국항공우주기술연구조합 팀장, 김명현 한국교통연구원 부연구위원, 송준혁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센터장이 각각 개인항공기 기술과 관련된 5건의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기술현황과 미래 발전 전망을 공유했다. 또 전주지역 탄소기업인 데크카본의 연구소기업 소개 및 주제발표도 이어졌다.
이날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은 탄소 복합재산업과 관련된 국제협력을 위해 한독상공회의소와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날 협약을 바탕으로 향후 △기술개발 협력사업 △한·독 기업간 매칭 지원 △기술 및 비즈니스 교육 등 공동연구와 기술개발 등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방윤혁 한국탄소융합기술원장은 “코로나19 등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탄소산업에서 개인항공기 등 미래기술에 대한 공유와 협력으로 위기를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수 전주시 신성장경제국장은 “개인항공기 시장 현실화를 앞두고 전주가 기술 확보를 선점하는 동시에, 탄소 산업도 성장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며 “전문가, 기업가들을 대상으로 한 포럼을 열고 홍보, 정보 공유, 협약 등을 하면서 그 첫발을 뗐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