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5일까지 종교시설 1360개소 대상 지원단 운영
스마트폰·핀마이크 등 활용해 온라인 예배·미사·법회보도록
9월 3일까지 종교단체 운영자 대상 현장교육, 콜센터 운영 등
전주시가 종교시설에 모이지 않고도 온라인 영상을 통해 예배와 미사, 법회 등의 종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온라인 종교활동 지원단을 가동했다.
시는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오는 9월 25일까지 한 달간 전주지역 종교시설에서 온라인 종교 활동이 가능하도록 운영 및 장비구축 방법을 안내하고 교육 등을 지원하는 ‘전주시 온라인 종교활동 지원단’을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지난 23일부터 코로나19 방역수준을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시킨 전주시가 종교시설의 온라인 집회를 유도하기 위한 후속조치다.
시는 전주지역 1360곳의 종교시설에서 스마트폰과 웹캠, 핀마이크, 거치대(삼각대) 등 간단한 장비를 활용해 카카오TV, 네이버밴드, 유튜브 등에서 비대면 종교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콜센터(063-281-6560~9)를 통해 안내키로 했다.
시는 ‘온라인 종교활동 이용 가이드’를 전주시 홈페이지에 올리고, 종교단체 운영자를 대상으로 현장교육도 한다.
이용 가이드에는 앱 다운로드·실행방법, 온라인 방송 및 시청 방법 등이 포함돼 있다. 9월 3일까지 매일 2회에 걸쳐 전주시청 정보화교육장과 전북스마트미디어센터에서 종교단체 운영자를 대상으로 10명 이하 현장교육도 실시한다.
또 200인 이하의 종교단체에 대해 온라인 종교활동에 필요한 스마트폰 데이터를 최대 월 50GB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업을 안내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지난 20일 기독교와 불교, 천주교, 원불교 등 주요 4개 종교단체 관계자들과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간담회를 갖고 종교시설별 방역을 최고수준으로 끌어올리고, 불필요한 사적 대면모임을 전면 금지하거나 자제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지난 23일 전주지역 4대 종단 중심 종교시설 총 1360개소 중 439개소가 대면 종교활동을 하지 않았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광복절 연휴 이후 급증한 코로나19 확산세를 잡기 위해 종교시설들의 협조가 절실하다”면서 “4대 종단을 비롯한 종교시설에서는 내 가족과 이웃을 지킨다는 간절한 마음으로 비대면 종교집회를 실시해 주시고, 각종 소모임과 식사 등도 잠시 자제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