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환 전주시의원, 주민 주도 통합 위한 TF구성 제안
내년 지방선거 앞두고 자칫 시·군 갈등 우려, 신중론도
지난 1997년, 2009년, 2013년. 세 차례 시도했지만 결국 무산됐던 ‘전주·완주 통합’이 ‘전북형 메가시티 구상’과 맞물려 또다시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통합 추진 민간협의체를 만들자’는 제안이 전주시의회에서 나왔다.
주민이 주도하는 전주·완주 통합을 이뤄내자는 것으로, 민간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하기 위해 전주시가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주저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양영환 시의원(민생당, 동서학·서서학·평화1·2동)은 지난달 26일 열린 제378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현재를 사는 우리와 우리를 이어갈 후대들을 위해 시·군이 통합하면 엄청난 발전과 시너지 효과를 나눌 수 있는 곳이 한 곳 남아있다. 바로 완주·전주다”며 통합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즉각 구성·가동할 것을 촉구했다.
양 의원은 “1986년 광주시는 광산군과 통합해 광주광역시, 대전시는 대덕군과 통합해 대전광역시, 울산시는 울주군과 통합해 울산광역시가 됐다. 청주·청원은 세 차례 무산됐지만 2014년 통합돼 현재 인구 85만 명에 이르는 중부권 대도시로 발전하고 있다”며 전주·완주 통합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를 강조했다.
광역시나 특례시로 나아가기 위한 주춧돌이자 지역 발전을 위한 엔진으로 ‘몸집 큰 중추도시’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풀이되는데, 양 의원은 정치권이 이해관계나 기득권을 내려놓는 게 중요하다고 봤다.
이러한 주장이 나온 배경은 광주·전남, 부산·울산·경남 등이 행정 통합형 ‘초광역 메가시티’ 구축에 힘을 쏟는 상황에서, 송하진 전북도지사가 지난 1월 신년회견을 통해 ‘전주·완주 통합을 넘어서는 광역도시 추진’을 천명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하지만 전주시 안팎에서는 양 의원의 주장을 포함한 통합론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신중한 모습이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자칫 시·군간 갈등만 키울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전주시 한 관계자는 “선거철되니 또 통합론을 꺼내느냐는 말이 나올 수 있다. 시의회 차원에서 통일된 의견으로 성명을 발표하는 등 공감대가 먼저 형성돼야 할 것”이라며 “전주·완주 통합 논의와 관련해 아직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실제 전주·완주 통합론과 관련해 완주군 일각에서는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지난달 16일 열린 완주군의회 제257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정종윤 군의원(더불어민주당, 상관·소양·구이면)은 “그간 완주·전주 통합론은 선거용 이슈로 악용됐다. 완주군민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행정통합 논의는 갈등만 증폭시킬 뿐”이라면서 “통합으로 완주군민에게 이득이 되는 점이 무엇인지를 따져서 군민을 설득하는 게 순리다”고 주장했다.
박성일 완주군수도 지난 1월 신년회견에서 ‘통합 문제는 군민 의견에 따라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만 내비쳤다.
주민 주도의 시·군 통합 논의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힌 김승수 전주시장은 “물리적인 통합보다, 통합을 통해 국가균형발전 큰 틀에서 어떤 기능과 권한·예산을 얻을 것인지가 중요하다. 특례시나 광역시로 가겠다는 분명한 비전 아래 추진돼야 한다”며 절차적 합리성을 강조한 바 있다.
결국 전주·완주 통합에 대한 찬성이나 반대 또는 모호한 입장이든 모두 ‘주민의 뜻’을 최우선 가치로 내세우고 있는 셈이다. 그런 점에서 통합 걸림돌과 구체적 혜택을 살펴 주민과 대화하고 설득하기 위한 민간협의체를 구성하자는 양 의원의 주장은 힘을 얻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