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시행자 ㈜에코시티개발, 전주시에 변경신청서 접수
부동산업계 “공공임대 후 분양 전환, 큰 이득” 분석
‘전주 에코시티 데시앙 15블록’ 사업시행자인 ㈜에코시티개발이 기존 일반분양에서 민간임대아파트 분양으로의 사업 방식 변경을 추진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달 7일 계획 발표 3년여 만에 주택건설사업계획이 승인을 받은 시점에 민간임대로 변경을 추진하면서 지역에서는 벌써부터 갖가지 추측이 나오는 상황이다.
22일 전주시에 따르면 에코시티 15블록 아파트 신축공사 사업시행자인 ㈜에코시티개발이 지난 16일 일반분양에서 민간임대 분양으로 사업방식을 바꾸겠다는 변경신청서를 접수했다.
전주 거주 무주택자들의 마지막 희망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관심이 높았던 15블록이 민간임대 분양으로 변경을 추진하면서 배경과 실제 전환 여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린다.
실제 해당 15블록은 전주시민들의 큰 관심을 받는 곳이다. 연면적 14만 1929㎡, 건축면적 7307㎡인 15블록은 784세대의 중대형 단지로, 공원과 저수지 조망 보유, 특히 조정지역에 포함되면서 무주택자들에게는 내 집 마련의 기회로 평가받았다. 더욱이 오는 2024년까지 전주에서 입주 가능한 신축아파트가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도 큰 관심을 받은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일반분양을 기다렸던 주민들에게서 실망과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같은 이유다.
민간임대 추진 배경을 두고 부동산 업계에서는 ㈜에코시티개발이 분양가 상한제를 피하기 위한 것 아니냐고 추정하기도 한다. 사업시행자 입장에선 시세보다 낮은 분양가로 일반분양하는 것보다 임대의무기간이 지난 10년 뒤 오른 시세 차익을 취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전주 한 부동산 관계자는 “공공임대 후 분양 전환 액수를 보면, 민간임대의 경우 주변 시세의 90%가량에 형성되는 것을 계산할 때 현재 일반 분양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이득을 챙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의무기간이 지난 후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는다 해도 지금보다 이득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임대 전환과 관련해서는 변경 승인 여부를 결정할 전주시의 판단이 가장 주요할 전망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일반분양보다 민간임대로 추진하는 것이 시의 정책 방향과 맞지만, 현재로서는 결정된 것이 전혀 없다. 무주택자와 실소유자에게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부분을 논의한 후 변경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주시는 ㈜에코시티개발과 사업 방식 변경 이유와 추진하는 임대 조건 등 검토를 진행할 계획이다. 과정이 원활히 진행될 경우 2주 후에는 변경 승인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