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독자마당] 다시 2011년 가을을 기다리며

김현일(금강문화축제 위원장)

 

고은 선생님, 가을 풀벌레 소리가 유난히 가슴 저리게 다가옵니다. 이 가을이 선생님께도 잔인하게 느껴졌을지 모르겠습니다. 올해 노벨문학상이 페루의 소설가 바르가스 요사에게 돌아갔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의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했습니다.

 

선생님의 고향인 군산 사람들은 선생님의 생가터와 시비가 있는 미제방죽(米堤-은파유원지)을 거닐면서 선생님께서 행여 상심하셨을까 걱정하는 말들을 나누고 있습니다.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마정리에 있는 자택에도 많은 사람들이 꽃다발을 들고 왔다가 발길을 돌렸다죠. 마음을 비운 듯 선생님께선 여느 해처럼 일찌감치 집을 비워두셨구요.

 

'소설 화엄경'에서 보여 주셨던 색즉시공(色卽是空)의 도를 터득하신 선생님께서 노벨상 그 자체에 그리 연연하신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다만 우리 문단이 '노벨상 콤플렉스'에서 벗어나고, 한국 문학이 세계 무대에서 정당하게 평가되어 후배 문인들이 활발하게 글쓰기를 할 수 있는 계기를 선생님께서 만드시고 싶어할 뿐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2002년 시리아 시인 아도니스 등과 함께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로 거론된 이후, 선생님께선 거의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수상 후보에 올라 온 국민의 가슴을 설레게 하셨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2000년에 간행된 『고은전집』만 해도 원고지 12만장이나 되고, 세노야 2003행사를 할 때 선생님의 저서가 무려 141권이나 되었다고 하니 경이로울 뿐입니다.

 

약속대로, 그 후 「만인보」를 완간하셨습니다.

 

사실 저는 2003년 제1회 금강문화축제를 계기로 선생님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고 지역문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가칭 '고은문학관'을 건립해야 한다고 역설해 왔지만 아직껏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어 내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다시 힘을 내서 이 사업을 공론화할 것이고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 입니다. 군산 시민, 나아가 전북도민들의 역량을 모으겠습니다.

 

오늘은 친구와 함께 선생님의 자취를 더듬어 보았습니다. 미룡동 용둔리 생가터와 할미산, 출가해 승려가 되기도 했던 금광동 동국사, 전쟁의 상처를 안고 아파했던 군산항 부두, 노래섬(歌島-대우자동차공장 부지로 편입), 선유도 망주봉…….

 

절망과 허무를 넘어 희망을 노래했던 고은 선생님, 조국과 민족의 미래를 위해 전사가 되어 치열하게 맞섰던 그 열정을 고이 간직하십시오. 부디 강건하셔서 조국 통일의 그날 다시 백두산에 올라 축시를 들려 주십시오.

 

/ 김현일(금강문화축제 위원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전북애향본부, 지역 청년정책 활성화 실천운동 본격화

자치·의회전주시의회 “광역기반시설 건립 도비 분담을”

사건·사고전역 앞둔 육군 병장 사망…'직권남용 혐의' 부사관 입건

사회일반금산사 신도들 “경찰 압수수색은 부당한 공권력 행사"

사회일반전북 노동단체 “심야·휴일 배송 구조 바꿔 택배노동자 건강권 보장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