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상산성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찰 안국사는 고려 충렬왕 3년(1277)에 월인화상이 지었다고 전한다. 광해군 6년(1614년) 적상산성 내에 사각이 설치되고, 인조 19년(1641년)에 선운각이 들어서 적상산 사고로 조선왕조실록과 왕의 족보인 선원록이 봉안됐다. 이 때 사고를 방비하기 위해 호국사를 지었으며, 안국사는 그 전부터 있던 절이었으나 호국사와 더불어 이 사각을 지키기 위한 승병들의 숙소로 사용돼 안국사라는 이름으로 불려졌다.
발전소 건설 때문에 1995년 지금의 위치로 이전, 중창됐다. 경내에는 영산회상괘불이 있는 극락전과, 세계의 불상을 수집해 모신 성보박물관 등을 비롯해 여러 채의 전각이 있다. 무엇보다 안국사는 산정에 위치해 있어 동서남북 사방을 바라볼 수 있는 빼어난 조망권을 자랑한다. 온 산이 단풍으로 물드는 늦가을, 안국사 극락전에서 바라보는 주변 풍경은 보는 이들의 말문을 막을만큼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