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언론포럼은 지난달 17-22일 만 19세 이상 일반국민 8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66.5점으로 가장 높았고 60대 63.9점, 20대 60.5점, 30대 59.9점, 50대 55.8점 순이었다.
가구소득과 행복도는 비례했다. 월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인 응답자의 평균 행복도는 68.3점을 기록했으나 200만원 미만은 51.8점에 그쳤다.
2-3년 전보다 더 행복한지를 묻는 말에는 25.9%만 행복하다고 응답했다. 우리 사회의 행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물질만능주의(32.7%)를 꼽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극단적 이기주의(19.8%), 사회양극화(16.4%)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응답자 절반이 넘는 58.6%는 '힐링'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일상생활 중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자는 62.8%에 달했고, 특히 여성(64.7%)과 30대(77.3%)·20대(69.7%)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이 높았다.
스트레스 해소법(복수 응답)으로는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다'는 응답이 29.9%로 가장 많았고 TV보기(25.8%), 지인과의 수다(17.6%), 취미활동(17%), 술(16.5%) 등의 순이었다. 연합뉴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