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마다, 집안마다 특색이 있지만 일반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북쪽에 병풍을 치고 병풍 앞에 신위를 모실 교의(의자)를 마련한 다음 제상을 펴고, 식어도 관계 없는 음식부터 차린다.
② 신위를 모신다.
③ 제주는 꿇어앉아 향을 피운다. 도와주는 집사가 있을 경우 왼편에 있는 집사가 강신잔을 제주에게 주면 오른편 집사는 술을 따른다. 제주는 술잔을 모사에 세 번 나누어 붓고 제주는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한다.
④ 제주 이하 참석자 모두 두 번 절한다.
⑤ 떡국을 올린다.
⑥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놓인 술잔에 술을 따른다. 한 발 물러나 제주 혼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⑦ 숟가락은 떡국 위에 놓되 바닥이 동쪽을 보게 한다. 젓가락은 시접 그릇 위에 가지런히 올린다.
⑧ 합문(闔門)이라고 하여 조상이 마음 놓고 잡수시도록 자리를 비우는 절차.
⑨ 모두 일어나 자세를 바로한다.
⑩ 주부가 윗대의 신위부터 차례로 수저를 내려 시접에 담는다.
⑪ 참석자 모두 조상을 보내는 절을 두 번 한다.
⑫ 집사는 각 신위 전의 지방을 태운다.
⑬ 가족 모두 음복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