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5일 내놓은 '2012년 중 및 2013년 1월 무역지수·교역조건' 자료를 보면 순상품교역조건 지수는 지난해 87.0으로 전년(89.2)보다 2.4%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100→89.2)에 이어 2년 연속 악화한 것이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란 한 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내며 2010년(100)을 기준으로 삼는다. 수출물가지수를 수입물가지수로 나눠 100을 곱해 구한다. 지수가 87.0이라는 것은 2010년에 한 단위 수출대금으로 상품 100개를 수입할 수 있었던 데 비해 지난해에는 87개만 사들일 수 있었단 뜻이다.
한은은 "지난해 수출가격(분자)이 수입가격(분모)보다 더 크게 내려 순상품교역조건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소득교역조건지수(총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는 104.6으로 전년보다 3.1% 올랐다. 이는 수출물량이 늘었기 때문이다.
수출물량지수는 지난해 반도체·전자표시 장치 등을 중심으로 5.6% 증가했다. 반면에 수입물량지수는 석탄·석유제품이 증가하며 전년대비 0.5% 상승했다. 연합뉴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