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통계청의 가계수지로는 지난해 4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 가운데 소득 상위 20% 계층이 교육비로 평균 40만7천원을 썼다.
같은 기간 소득 하위 20% 계층이 지출한 교육비는 고작 5만7천원이다. 두 계층 간 지출 격차가 무려 7.1배나 된다. 관련 통계가 이뤄진 2003년 이래 최고치다.
이 격차는 2003년 한때 4.5~5.4배 수준이었다. 그러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차이가 벌어지는가 싶더니 지난해 4분기엔 처음으로 7배를 넘어섰다.
이런 현상은 소득 양극화 탓이 크다. 고소득층은 교육비 지출을 '필수'라고 생각하지만 저소득층에서는 교육비에 우선하는 식비 등의 지출이 많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의 2월 소비자동향조사로는 가계의 교육비 지출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계층에서 90으로 나타났다100을 밑돌면 교육비 지출을 줄인다는 뜻이다. 연합뉴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