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요즘 우리 농촌에선
환갑 진갑 정도 지난 분들은
막내 취급을 받습니다.
나이에 관계 없이 노인분들이
함께 일하며 수익도 같이 나누는
농장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들 지,
채널 에에 제휴사인
전북일보 은수정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마을 주민들이 모여 고추모를 심고 있습니다.
대부분 70대 이상의 노인들입니다.
혼자 농사짓기 어려운 노인들이 두레농장을 만들어
일도 같이 하고, 수익도 공평하게 나눕니다.
[이덕남/오복 두레농장 농민]
“돈 벌어서 좋고, 나 건강하게 일 다녀서 좋고,
여럿이 하니까 재밌지. 스트레스도 풀려,
재밌게 이야기도 하니까.”
한창 딸기를 수확하는 이곳도
마을 주민들의 공동 농장입니다.
[이옥선/구암 두레농장 농민]
"손주 과자도 사주고 장난감도 사달라면 사주고,
맛있는 것 많이 사먹고, 시내 가서 애들하고 밥도 먹고 얼마나 재미져요."
두레농장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모두 로컬푸드 직매장에 내놓는데,
수익도 안정적입니다.
[정마진/구암 두레농장 대표]
"안정된 가격을 받을 수 있고 무엇보다도
저희가 가격을 매기기 때문에 꾸준한 소득을 올릴 수가 있죠."
5년 전 전국 최초로 두레농장을 만든 완주군에는
농장이 10곳으로 늘었고,
130여 명의 노인들이 일하고 있습니다.
함께 일하고 소득도 같이 나누는 두레농장이
고령화된 농촌공동체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북일보 은수정입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