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4월 6일 지리산 자락을 지나다 만난 오색 딱따구리가 내 가슴을 꽝 쳤습니다.”
생명에 대한 애정과 이해가 깊은 생태작가이자 치열한 기록자인 김성호 작가의 말이다.
전북일보와 전북환경운동연합이 공동 주최한 ‘2024 초록시민강좌 – 자연이 내게로 왔다’의 일곱 번째 강의가 지난 21일 오후 7시 전주중부비전센터 2층 글로리아 홀에서 열렸다.
이날 강의에서 김 작가는 조류 생태를 연구하기 시작했던 이유를 돌아보는 한편, 딱따구리와 동고비 등 다양한 새의 사진과 함께 그들의 생태를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 작가는 “생물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하긴 했지만, 현대 생물학은 생물의 이름을 알아가는 공부의 느낌은 아니었다”며 “15년간 줄기차게 자연이 품은 생명들을 만나는 일을 했더니 이름 정도는 좀 알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후 앞만 보고 열심히 살았던 17년 시간을 돌아봤는데 손에 책 한권이 들려있지 않다는 것이 보였다”며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한번은 가야겠다는 생각에, 또 하루하루 설레기 위해서 40대 중반에 새로운 길을 찾아보기 시작했다”고 회고했다.
또 “지리산 자락을 지나며 오색 딱따구리가 둥지를 짓기 시작하고 있는 모습을 봤다”며 “새가 새끼를 키워낼 집을 짓고 있고, 집을 완성하면 알을 낳을 것이고, 알을 깨고 새끼가 나오면 죽을 힘을 다해 키워내는 일이 벌어지는데 이 과정을 함께할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김 작가는 어린 새가 자라는 것에는 부모 새도 엄청난 노력을 하지만 그 못지않게 애쓴 나무의 존재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밖에서 보면 이만한 입구가 뚫어져 있을 뿐이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가슴을 다 파내준 나무가 먼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그 나무를 보며 나도 그대처럼 이 세상을 살아가겠습니다 하고 인사를 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동고비가 집을 짓기 시작한 이후 어린 새를 모두 키워 떠나기까지 80일의 시간이 걸린다”며 “동고비는 새끼를 키워야하는 딱따구리 둥지 입구가 너무 넓으니까 이를 진흙으로 계속해서 좁힌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김 작가는 “동고비는 둥지 입구를 좁히는 과정에서 다른 여러 덩치 큰 새들과 청설모 등의 방해가 있더라도 언젠가 그날이 온다는 생각으로 계속해서 입구를 좁힌다”며 “이런 모습을 동고비 정신으로 부르고 있는데, 우리 모두 이런 동고비 정신으로 나아갔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