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news
예선을 거쳐 본선에 넘어온 작품이 7편이었다. 일곱 편 중에 4편을 내려놓자 최후까지 남아 경합을 벌인 작품이 김은경의 <말주머니 학교>, 최영숙의 <겨울 손님>, 이명준의 <아기들쥐와 허수아비>였다.그 중 <말주머니 학교>는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솜씨가 뛰어나 호감이 갔으나 한편으론 산만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아쉽지만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했다.<겨울 손님>은 첫 도입부부터 읽는 이로 하여금 시종 긴장을 하게 했다. 그 점 새로운 시도라 여겨져 칭찬을 하고 싶다. 문장 또한 흠 잡을 데 없이 탄탄하고 논리적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분위기가 동화보다는 성인 소설 쪽에 가까운 작품이다. 동화 문장은 시적이어야 한다는 말 염두에 두었으면 한다.<아기들쥐와 허수아비>는 세 편 중 가장 돋보이는 작품이었다. 짧고 간결한 문장에 잘 짜여진 구성력은 웬만한 기성 작가를 능가하는 실력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를 잃은 아기들쥐 남매가 종결부에서 허수아비의 몸통 구석구석에 지푸라기를 물어 나르는 장면은 감동적이다 못해 가슴 뭉클한 인간미를 느끼게 했다. 뿐만 아니라 다음 날 아침 잠에서 깨난 들쥐남매의 눈앞에 흰 눈으로 덮인 들판의 장면을 설정해서 끝을 맺은 것은 아무나 그려낼 수 없는 참으로 멋들어진 기교가 아닌 가 싶다. 따라서 <아기들쥐와 허수아비>를 당선작으로 올리는데 추호의 망설임이 없었음을 밝혀둔다.끝으로 작가를 지망하는 젊은 문학도들은 한두 번의 신춘문예 도전으로 선 외로 밀려났다고 해서 좌절하거나 낙담하지 않기를 바란다. 수십 편, 때로는 수백 편의 응모작 중에 당선작은 오직 한 편. 그 한 편을 위해 시지프스의 바윗돌을 굴리고 또 굴리는 각고의 노력을 쏟다보면. 부디 정진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겨울비가 촉촉이 내려앉아 눈부시게 맑은 날.전북일보입니다. 이명준선생님 되시죠?한참동안 전화기를 들고 있어도 무슨 이야기를 주고받는지 실감나지 않았습니다.전화를 끊고 나서 두근거리는 가슴을 진정시키는 데는 꽤 오랜 시간이 필요했습니다.세 아이들을 양육하면서 자장가 삼아 들려주었던 동화.잠이 와 보채는 아이를 품에 안고 잠자리에서 지어낸 즉석동화를 들려주었던 일들이 어제 같은데 벌써 두 딸들은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어 어린 아이들을 품안 가득 안고 있습니다.살아오면서 알게 된 것은 자라나는 어린아이들에게 예쁜 옷이나 맛있는 음식보다 더 소중한 것이 꿈과 사랑을 품을 줄 아는 아름다운 마음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동화는 쓰면 쓸수록 더 어렵게 느껴지는지 모르겠습니다.어린아이들이 꿈과 사랑을 품을 수 있는 아름다운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예쁜 동화를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무딘 연필을 보고도 늘 멋진 만년필이라 칭찬하시며 기꺼이 문학의 길로 이끌어 주신 장호병 선생님, 아동문학의 소중함을 강조하시며 동심의 세계로 이끌어 주신 권영세 선생님, 심후섭 선생님, 박방희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지금도 타는 열정으로 문예아카데미 강의실에 모여 있을 문우님들과 당선의 영광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제 동화를 어여삐 읽어주신 심사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전북일보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핫플레이스] 순창 강천산 힐링여행⋯사계절 자연이 선사하는 치유의 시간
[전북의 기후천사] 불완전해도 괜찮아…기후 위기 맞닥뜨린 지구를 위한 실천 ‘비건’
[작지만 강한 우리 마을] ⑥천왕봉 품은 정겨움과 치유의 마을 '솔바람'
[팔팔 청춘] "할아버지, 안녕하세요!"⋯학교에 가는 할아버지들
[세계기록유산이 된 '동학농민혁명기록물'] 교남수록
[팔팔 청춘] "신체 나이는 60대"⋯80대 건강 비결은 '탁구'?
[팔팔 청춘] 여든 앞둔 '봉사왕' 이영자 할머니 이야기
[전북 이슈+] "문 열긴 했는데"⋯5년도 못 버틴 전북 사장님들 폐업 속출
[전북의 기후천사] 기후 위기와 생태 이슈에 다가서는 예술적 실험들
[트민기] 청소년은 책 무료?⋯요즘 어른의 돈 쓰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