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영 동학혁명기념관장
동학농민혁명(이하 동학혁명)이 이제 118주년을 맞이했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동학혁명국가기념일(이하 기념일)을 제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해보면 동학혁명자체가 어느 한 지역이나 한 날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혁명과정을 거론할 수 있다. 그리고 동학혁명기념을 국가차원에서 추진하고 관리지원하는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하 기념재단)의 역할도 부족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들도 있다. 또한 동학혁명과 관계되는 전국주요지역의 지역이기주의에 의한 세계사적인 동학혁명이 지역에 묶이게 되는 염려도 있다. 그래서 일부 학자나 기념사업관계자들은 국가기념일제정 무용론을 주장하는 현실을 우려한다. 이에 필자는 기념일 제정은 반드시 확정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면서 그에 대한 의견을 밝히고자 한다.
지난 5월 30일 기념재단은 운영위원회를 열어, '동학혁명의 숭고한 정신을 국민은 물론이고 세계사적적인 혁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국가기념일 제정을 여론조사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여론조사 방법은 국내의 유력한 3개 여론조사 기관을 통해 일반국민 1천명 유효표본 달성을 위해 전국의 1만여 가구를 접촉할 계획이라 한다. 또한 동학혁명관련 전국 유족회원 1천명의 여론조사와 함께 실시해 가장 많은 득표 날로 기념일을 결정할 예정이라 한다. 기념재단 운영위원회에서 검토한 여론조사 기준과 방법 등에 대해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6월 12일 전국 동학혁명 유관단체장을 초청하여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결국 동학혁명국가기념일 결정을 꼭 이런 방법으로 할 수 밖에 없느냐의 질문에는, 그동안 10여 년간 갈등이 지속되고 합의를 이루지 못한 어려움이 있다고 기념재단은 전한다. 지난해 기념일제정 추진이 중단되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할 때 필자는 몇 몇 학자들과 기념사업회 관계자들에게 국민여론조사를 제안한바 있다. 다른 방법은 계속 갈등 속에 결정이 미루어질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감안한 것이다. 이에 필자는 동학혁명1백주년기념관 관장으로서 여론조사 방법론을 찬성하는 바이다. 국가기념일 제정은 어느 한 날짜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한 기념재단 측 설명은 국가기념일은 국가차원에서 하고, 각 지역의 기념일도 국가기념일과 동등하게 지원하고 함께하는 전국적인 동학혁명기념일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한다. 그런데 동학혁명과정에서 중요한 지역기념일이 여론조사 선정지역에 빠진 곳이 몇 군데 있다. 그중 특히 백산대회일(양4월26일, 음3월21일)이다. 현재 여론조사예정 기념일제정 후보날짜들을 보면, 고부기포일(양2월15일, 음1월10일) 무장기포일(4월25일,3월20일) 황토현전승일(5월11일,4월7일) 전주성점령일(5월31일,4월27일) 우금티전투일(12월5일,11월9일) 특별법공포일(양력 3월5일)이다. 본 기념일 후보날짜들은 지난해 운영되었던 기념일제정추진위원회에서 투표로서 결정 제안한 날들이다. 문제는 그동안 유력하게 거론되어왔던 '백산대회'날이다. 아예 기념일제정 후보 날에서 빠진 것은 당시 추진한 학자들의 실수라고 단정한다. 백산대회는 현재 동학교단인 '천도교'의 공식 동학혁명기념일이다. 어느 단체와 지역보다 가장먼저 천도교에서 제정한 기념일이다. 원래 천도교에서는 고부기포일을 기념일로 해오다가 4.19혁명 직후 학술대회와 토론을 거쳐 제정한 동학혁명기념일이다. 그래서 학계나 기념재단에서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필자의 생각으로는 전주성점령일을 국가기념일로 되었으면 하나, 이번 기념재단에서 여론조사로 결정할 경우 찬성할 것이다. 천도교총부에서는 기념재단측의 결정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는 앞으로 숙제로 남아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