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인권 조례 없어도 학교문화 만들면 가능
지역 인권 역사의 산증인 가운데 한 명인'인권누리' 전준형 대표이사(46)는 "인권 보호는 서로 다름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며 이렇게 말했다.
사단법인 '인권누리'는 그동안 지역 사회에서 인권 보호에 앞장서 온 비영리 민간단체 전북인권교육센터가 지난 23일부터 새로 내건 이름이다.
전 대표는 "인권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교육"이라는 생각에서 정의평화 전북센터와 전북평화인권연대를 거쳐 전북인권교육센터를 창립했다.
지난 2009년 전북인권교육센터를 세운 그는 4년 동안 경찰청과 교육청, 공무원 연수원, 학교 등 다양한 현장에서 인권 교육을 해왔다.
지역 사회 인권 상담과 조사, 구제 활동 등을 통해 인권 의식을 넓히는 것도 그의 몫이었다.
최근 그는 인권을 지키는 지역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전주시 동산동 무지개작은도서관도 위탁 운영하고 있다. 도서관에선 장애 인식 개선 교육과 더불어 학생 인성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현장에서 뛰면서 전문적인 인권 교육이 절실하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는 그는 "다양한 인권 관련 콘텐츠를 만들어 내고,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주력해 왔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전북대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친 그는 "이런 작은 노력이 모여 지역 사회에서도 인권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전 대표는 "활동 초기에는 인권이란 단어만 꺼내도 운동권으로 여길 정도로 선입견이 많았다”며 “지금은 가족과 직장 등 일상 생활에서 생기는 소소한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상담 문의가 적지 않다"고 귀띔했다.
그러나 그는 "인권 의식이 자연스럽게 높아진 동시에 사회적인 편견도 그만큼 생겨나는 것 같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인권을 강조하다 보니 군 기강이 무너졌다’는 일부 보수 진영의 주장은 인권에 대한 이해 자체가 부족한 것"이라며 "인권 보호가 곧 인권을 침해받으면 불복종해도 좋다는 등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인권 보호는 권리와 함께 반드시 책임을 수반하며,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 안에서 평화적인 합의를 끌어내는 것"이라며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게 아니라 바로 세우는 게 인권"이라고 강조했다.
"상대방의 인권을 이해하는 교육이 이뤄져야 사회 전반에서 발생하는 인권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요. 가해자도 사법 제도에 의해 사회적 처벌을 받되 사회 구성원으로 다시 복귀할 수 있는 조치가 이뤄져야 합니다."
그는 '학생 인권 조례가 없어도 인권 교육이 가능하다'는 의견에 기본적으로 동의하면서도 '인권 보호=학생 마음대로 하는 것'으로 단순화하는 시도를 경계했다.
그는 "학교 폭력을 예방하는 사회적 노력도 인권을 향상하는 과정 속에서 진행돼야 한다"며 "학생 인권 조례는 학교 폭력 예방 대책으로서 인성 교육과 가정의 책임을 전제로 하는 최소한의 기준"이라고 말했다.
전 대표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뿐 아니라 우리 주위 이웃까지 폭넓게 인권 활동을 이어가겠다"며 "굳이 기부의 형식이 아니어도 누구나 재능 기부를 통해 인권 보호 운동에 동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후원 전북은행 535-13-0325149.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