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서울 여의도 주변은 입법로비 등에 연루된 국회의원 5명의 사법처리 여부로 하루종일 시끄러웠다.
저마다 항변할 것은 많겠지만 시민들은 업체나 기관, 단체의 이익을 대변해주고 출판기념회 등을 통해 불법 정치자금이나 뇌물을 받은 선량의 행태에 대해 싸늘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도내 11명의 지역구 국회의원은 이번에 얽혀들지 않은게 천만다행이지만, 이들 또한 뇌물에 가까운 불법 정치자금의 모금 통로로 지목되고 있는 ‘출판기념회’를 즐겨왔기에 큰소리칠 형편이 못된다.
소관 상임위와 명백하게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기업이나 단체 등이 출판기념회의 단골 초청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공교롭게 시민단체인 ‘바른사회시민회의’는 21일 제19대 국회의원 300명의 출판기념회 개최 현황을 조사, 발표했다.
총선을 앞둔 2011년부터 올 7월까지를 분석한 결과, 전체 300명의 국회의원중 192명의 의원이 총 279건의 기념회를 개최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략 3명중 2명꼴로 출판기념회를 했는데, 도내 11명중 출판기념회를 하지않은 사람은 단 한명도 없었다.
도내 의원들은 존재감이 없다지만, 공천이나 국정감사를 앞두고 있는 아쉬운 을(乙)에게 만큼은 뚜렷한 존재감이 있는 슈퍼 갑(甲)임을 보여주는 사례다. 조사 결과 정당별로는 새정치민주연합(올 3월 이전 민주통합당) 107명,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포함) 79명, 통합진보당 3명, 정의당은 3명의 의원이 기념회를 열었다.
이 기간중 출판기념회를 2회 개최한 의원은 54명, 3회 개최한 의원은 13명이었다.
그럼 도내 의원들은 어떨까.
이상직, 김윤덕 의원이 각 3번씩 출판기념회를 열었고, 유성엽, 이춘석, 박민수, 전정희 의원이 각 2회씩 개최했다. 강동원, 김성주, 김관영, 김춘진, 최규성 의원은 한번씩만 출판기념회를 가졌다. 사실 정치인의 출판기념회는 후원금 조달의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정치자금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불법적인 정치자금 모금의 장으로 활용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바른사회시민회의는 “공직선거법 상 선거 90일 전부터 선거일까지는 후보자와 관련 있는 저서의 출판기념회를 열 수 없기 때문에 2012년 4월 총선, 2014년 6·4지방선거 90일 이전, 국정감사를 앞둔 시점에 기념회가 집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 6·4 지방선거때 도내 일부 지역에서는 공공연히‘돈 공천’이라는 말이 나돌았다.
진위는 알길이 없지만, 일부 지역 국회의원이 단체장이나 지방의원 후보로부터 출판기념회 등을 빙자해 받은 후원금의 액수에 따라 공천권을 행사한게 아니냐는 의혹을 산 것이다.
1991년 지방자치가 실시된지 몇년 지나지 않았을때의 일이다.
당시 익산 출신 이협 의원이 일정액 이상의 후원금은 모두 당사자에게 돌려보내 화제가 된 일이있다.
그때만해도 지방선거 입지자들은 소속 지역구는 말할 것도 없고 다른 의원들까지 챙기는게 관행이었는데 이를 되돌려보내자 어떤 후보는 “처음엔 금액이 적어서 그런줄 알았다”고 토로한 적이 있다.
당연시되던 것도 거절하던 한 국회의원의 에피소드는 지금도 타산지석으로 삼을만하다.
중앙무대에서 맹렬하게 지역의 이익을 위해 뛰어야 할 의원들이 본연의 일은 하지 못하면서, 공천을 바라는 사람들로부터‘코묻은 돈’이나 빼앗아먹는 행태가 더 이상 계속돼선 안되기 때문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