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항 신항(이하 신항)은 내년말로 개장이 계획돼 있다.
군산해수청은 개장에 대비, 최근 부두운영회사제 추진을 골자로 내년 상반기 완공될 5만톤급 2개 선석의 부두운영 계획에 대한 설명회를 가졌다.
그러나 신항의 내년말 개장시기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항만 건설이 어수룩하고 운영 준비가 제대로 안돼 '어설프다'는 평가가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건설 측면의 경우 항내 정온수역 확보를 위한 외곽시설도 제대로 갖추지 않은데다 항만 배후부지조차 조성되지 않았다. 부두 규모에 맞지 않게 야적장 폭은 턱없이 좁다.
신항은 북풍과 서풍을 방어하기 위한 외곽 시설만 건설됐을 뿐 강한 남서풍에 대비한 방파호안은 축조 시기조차 특정되지 않았다.
게다가 서풍에 완벽하게 대비하기 위해 서측 방파제를 추가로 250m 연장하는 공사는 총사업비의 미확정으로 아직까지 표류하고 있다.
예측할 수 없는 기후변화로 하절기와 동절기 남서측 계열의 높은 파랑이 항내로 몰아칠 경우 신항은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다.
항만 배후부지 118만여㎡(36만평)도 조성되어야 하나 민간자본투자로 계획돼 있어 조성자체가 제로(0) 상태다.
지반 안정, 설계, 개발 등의 과정을 고려할 때 최소 5년이 소요된다는 것이 항만건설 관계자들의 진단인 점을 감안하면 부두의 원활한 운영을 뒷받침하는 배후부지의 조속한 조성은 현재 기대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5만톤급 접안시설의 야적장 폭도 최소 400m는 돼야 하나 200m에 불과한데다 신항 접안시설의 마루높이마저 군산항 7부두 DL+9.5m보다 낮은 DL+8.5m로 설계돼 있다.
이런 상태에서 개장을 하게 된다면 해수면 상승과 이상 파랑 등으로 원활한 항만운영은 커녕 항만과 야적 화물의 침수 피해가 우려된다.
특히 남서측 계열의 강한 태풍이 항내로 몰아칠 때 불안한 정온수역 확보로 항내에 정박해 있는 외항선들이 안전을 위해 다른 항만으로 피항해야 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까지 벌어지지 않을까 현장의 항만건설 관계자들은 우려하고 있다.
그동안 남서측 방파호안 건설, 접안 시설의 야적장 폭 확대, 배후부지 정부재정 투입 개발, 접안시설 마루높이 상향 등의 여론이 지속됐지만 아직 메아리가 없다.
특히 2027년 상반기 부두가 운영된다고 하지만 총 연장 2.3㎞의 항만 진입도로 개설공사는 현장 여건상 그때까지 완공이 어려워 항만이 개장돼도 기존 공사용 도로나 활용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두 운영을 위해선 항로 고시, 예 도선 계획, 관제구역 설정, 순찰선 및 청항선 건조, 청사 신축 및 소요 정원 확보 등 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하게 확정된 것이 거의 없다. 가장 중요한 신항의 관할 행정구역마저 결정되지 않았다.
이런 상태에서 신항이 개장된다면 삐걱거리는 항만 운영과 하역 작업으로 국제적인 이미지가 크게 훼손될 것이 뻔하다.
지난 2023년 준비 부족에 따른 새만금 잼버리대회 파행 운영으로 국격이 크게 실추됐던 일을 벌써 잊었나.
신항 개장을 늦추더라도 현재 안고 있는 문제점을 현장 위주로 촘촘히 해결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