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문화 거래되는 시장
하지만 그 축제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몇몇 여타 축제들을 짜 맞추듯 구성해 명칭만 다를 뿐, 대동소이한 축제들을 양산하고 있어 지역만의 특색과 문화는 살리지 못하고 중복되게 예산만을 낭비하며, 지역축제의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지역에 대한 이해와 깊은 고민 없이 유행처럼 경쟁하듯 축제를 생산해 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는 듯 보인다.
축제를 여는 이유는 지역민의 교류 화합일 것이며, 지역문화를 통한 지역 경제순환을 바라서일 것이다. 그런 이유라면 명목만 거창한 축제를 생각하기보단 작아도 좋고, 축제라는 이름이 없어도 좋으니, 지역민이 상호 교류하고 지역 현실과 지역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그 속에는 지역민이 주체가 되고 참여자가 되어 서로 부담 없이 어울려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판이 되어야 함을 말한다.
그러한 측면에서 지역 전통시장 또한 그 자체가 지역 생활문화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일상의 판이 될 수 있는 좋은 예가 아닐까 생각된다. 일상에서 지역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좋은 방법 하나가 지역 전통시장을 찾는 것이다. 전통시장은 지역의 지리적 환경적인 특성에 따라 재배되고 생산되는 것들이 모이며, 그 지역의 수요 욕구에 따라 다양한 품목들이 갖추어지고 구성되는 현상으로 지역 특성의 삶과 문화가 융합되는 창고라 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지역 시장마다 각기 다른 지역 특성을 보이기에 시장을 통해 다양한 지역의 생활상을 엿볼 기회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 시장에서는 그 지역의 지리적 자연환경의 작용에 의한 1차 산업의 먹을거리 품목들이 강세를 보이기도 하고, 또 어떠한 지역 시장에서는 2차 산업의 가공 품목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그 지역의 지리적 환경에 의한 지역 특성의 삶과 문화를 만날 수 있고, 예측해볼 수 있는 기회이다.
전통시장에서는 단순히 대형마트에서처럼 구매의 목적만을 앞세워 시장을 방문하는 것으로는 그 지역의 고유한 삶과 문화를 느끼기에는 어렵다. 시장에는 공급과 수요의 관계에서 대화가 필요하고 그 대화로 서로 협의에 따라 거래가 성사되기 때문이다. 즉, 그것은 문화교류이며, 그 또한 시장의 거래문화이다. 그로 인해 지역의 생활문화가 유지되기도 하고 생성하기도 하며, 지역경제가 순환될 수 있다. 그래서 시장의 거래가 지속해서 형성될 수 있도록 지역 전통시장의 활성화는 중요하다.
전통시장 활성화 중요
그러나 현실적으로 전통시장은 대형마트에 밀려 쇠퇴해가고 있다. 현재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려는 노력이 여러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벌어지고 있으나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구조에서 수요 욕구를 얼마나 충족시키며 전통시장을 지켜나갈지는 아직까지 의문이다. 전통시장을 통해 지역과 지역민, 공급과 수요의 관계가 상호 교류하고 소통될 수 있는 소소하지만, 가치 있는 판이 지역 전통시장에 필요한 때라 여긴다. 그것이 지역의 생활문화를 지속, 자생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