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감고 바라보았다 지렁이의 시간 속에서 두더지의 뾰족한 털이 자라나길 기대하면서 거꾸로 박힌 털을 하나씩 길러내며 역모(逆謀)를 꿈꾸듯 더듬거려보았다 삶을 자꾸만 실험하면서 실패를 반복하면서 어떤 가설도 정설로 받아주지 않는 암실에서 이 실험실의 각성제와 수면제의 틈에서 썩지 않는 화학공식을 깨면서 희미하지만 더듬거리는 손가락들에게 램프를 쥐어준다면 지렁이의 눈에 안대를 씌어준다면 삶도 자꾸 닳아져서 희미해지겠지 살을 닮아가면서 몸의 털들이 일어서며 삶을 살아가겠지 삶이나 살이나 화살을 뒤쫓아가겠지. 두더지의 시간이나 지렁이의 시간이나 텅텅 울리는 암실에서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텅 빈 교실에서
△시를 쓰는 사람은 항상 사물들과 암중모색 중이다.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는 텅 빈 교실에서, 혼자만의 암실에서 고독한 모색을 한다. 어둠에 익숙한 두더지가 되어 역모를 꿈꾸듯, 기존의 시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참신한 시를 꿈꾼다.
그런 시를 무럭무럭 기르고 싶어 한다. 그러나 시에는 정설이 없다. 모든 가설은 그냥 가설인 채 존재할 뿐이다. 훗날, 과거를 토막 내는 시대 안에 하나의 사조로 군말 없이 엮일 뿐이다. 자판을 누르는 손가락 끝에 램프를 켜들고 자꾸 닳아가는 시인이여, 생은 실패를 실패라고 기록하지 않는 법이다. <김제 김영 시인>김제>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