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1’
익산이 음식물쓰레기 대란 위기를 맞았다.
딱 하루 남았다.
익산시 동산동 발전협의회, 주민자치협의회, 통장협의회,자율방범대,지역사회보장협의회,새마을 부녀회 등 6개 지역 주민단체는 음식물처리장으로 들어가는 모든 음식물쓰레기에 대해 10월 1일부터 반입을 저지하는 실력 행사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주민들은 그동안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에 대한 이전을 요구했고, 시설 이전까지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악취저감 개선 공사가 이달 30일까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음식물쓰레기 반입저지를 사전 경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관철되지 않아 어쩔 수 없는 실력 행사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들의 집단행동 돌입 배경을 보면 나름 고개가 끄덕여진다.
쓰레기 반입 저지로 인한 피해가 애꿎은 전체 시민들에게 돌아간다는 것을 뻔히 알고서도 오죽했으면 그랬을까.
이번 사태가 하루빨리 원만하게 해결되길 그저 바라고 또 바랄 뿐이다.
하지만 꼭 짚고 넘어갈 게 있다.
도대체 익산시와 시의회는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기까지 뭘 했다는 말인가.
주민단체들이 지난 10일 익산시와 시의회 방문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반입 저지를 일찌기 사전 경고하면서 조속한 사태 해결에 나서 주기를 간곡히 주문하지 않았는가.
그들의 요구사항을 살펴보면 터무니 없는 어거지 주장으로 전혀 볼 수 없기에 하는 지적이다.
10여년에 걸친 동산동 주민들의 환경피해를 고려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 이전을 요구하면서 당장의 이전이 불가능하다면 시설 이전까지의 악취저감 시설 개선을 촉구했을 뿐이다.
근본적인 요구는 시설 이전이지만 더 깊게 들어가 보면 조속한 악취 저감시설 개선에 그치고 있다.
주민들의 민원에 대해 좀 더 신중히 귀기울이고 적극적인 행동으로 옮겼다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또다른 주민의 얘기를 들어보면 더더욱 안타깝다.
이들은 “특정 시의원은 악취를 저감하겠다는 시설개선 허가에 대해 특혜의혹을 제기하며 주민 간 갈등을 조장하는 등 공사에 제동을 걸었고, 이로 인해 시설개선은 진전이 없어 악취 피해가 지속됐다”고 토로했다.
특혜를 둘러싼 갈등은 차후 논의하더라고 당장의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일단 시설 개선 공사를 진행한 후 문제점이 발견될 시 이를 개선하면 될텐데 그저 발목만을 잡았다는 게 핵심으로 정말 기가 막힌다.
물론 특정 시의원 때문에 이번 사태가 발단이 된 것 처럼 해석할 수 있으나 무엇보다도 익산시와 시의회의 무관심과 안일한 대응이 음식물쓰레기 대란 위기를 자초하지 않았나 싶다.
음식물쓰레기 대란 소식에 시민들은 불안하다.
주민들이 음식물쓰레기 반입 금지 집회신고를 9월 30일부터 10월 25일 24시까지 냈기에 더더욱 그렇다.
자칫 장기화로 치닫지나 않을까 크게 우려된다.
하루 평균 81톤에 이르는 각종 음식물쓰레기 수거가 단 하루라도 중단되면 시민들은 악취와 파리떼 때문에 많은 고통을 받을 것이다.
익산시와 시의회가 지난 27일 긴급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음식물쓰레기 배출 자제 시민 협조 요청, 전체 시민을 생각해 반입저지 사태만은 자제해 달라는 호소는 사실상 뾰족한 대책이 될 수 없다.
비록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지만 이제라도 보다 진정성을 갖고 주민들의 맘 속으로 뛰어들어라.
또다시 미적거리거나 서로 책임만을 떠넘기는 것은 시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고 시민이 원하는 정치인의 모습도 아니다.
익산시민들은 이번에 지역 정치인 한 명 한 명에 대해 위기관리 능력을 지켜볼 것이다.
/엄철호 익산본부장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