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암울한 전북의 경제지표

권순택 논설위원

삽화=권휘원 화백
삽화=권휘원 화백

통계청 등이 매년 발표하는 경제지표를 보면 전북의 현실은 답답하고 암울할 뿐이다. 새만금 개발에 희망을 모두 걸었지만 착공된 지 30년이 넘도록 여전히 공사 중이다. 산업화 이전까지만 해도 전북의 경제력과 인구 규모는 다른 지역에 뒤처지지 않았으나 군사정권의 차별과 홀대 속에 뒷전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지방자치제 부활과 민선 자치시대 개막으로 지역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맞았지만 전북은 획기적인 성장 모멘텀을 찾지 못한 채 지역 소멸 위기까지 내몰리고 있다. 민선 자치이후 경제학자 경제관료 행정전문가 등이 도백을 맡아 전북의 발전을 이끌었다. 잘사는 전북, 강한 전북, 전북경제 대한민국 4강 진입, 전북 대도약 등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낙후와 소외에서 벗어나려고 뛰었지만 별로 나아진 게 없다. 지역내총생산은 거꾸로 뒷걸음질 쳤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지역내총생산 규모는 전국 대비 4%를 차지했지만 1990년대엔 3%대로 떨어진 데 이어 지금은 2%대까지 밀려났다.

통계청이 이번 주 초 발표한 ‘통계로 보는 전라북도 도민의 삶’ 보고서를 보면 2019년 1인당 전북지역 총소득은 2826만 원으로, 전국 평균 3753만 원보다 927만 원이나 낮았다. 전국 순위는 17개 시·도 중 16번째였다. 1인당 지역내총소득은 2874만 원으로, 9개 도 지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제주나 강원에도 뒤처졌다. 1인당 전북지역 개인소득도 1872만 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15번째였다. 경북 전남에 이어 뒤에서 3번째를 순위다. 1인당 민간소비 역시 1602만 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16위를 차지했다. 전북 도민의 소득 수준이 낮다 보니 ‘부족하다’는 응답자는 58.1%로, 지난 2011년보다 17.1%포인트 늘어났다.

지역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하는 경제력지수 역시 전국 최하위권이다. 지난달 한국은행 전북본부에서 발표한 ‘전북지역 경제력지수 및 균형발전 현황’을 보면 2019년 전북의 경제력지수는 5.30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꼴찌를 기록했다. SOC 및 재정력과 산업발전 인력기반 소득수준 등이 모두 전국 평균치를 크게 밑돌았다.

전북의 경제지표가 바닥권인 이유는 사회간접자본시설과 산업 인프라가 매우 취약한 데다 농업과 개인서비스업 비중이 높고 대기업 등 기업체가 빈약하기 때문이다. 쇠락한 전북 경제가 비상하려면 미래 비전 역량을 갖춘 리더십과 함께 산업 구조의 대전환, 그리고 성장잠재력이 높은 신산업 발굴, 인적 역량 강화 등이 급선무다.

권순택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검은 수요일' 코스피 6%↓…급등 부담 속 'AI 버블론'이 직격

군산“군산에 오면, 미래 체육을 만난다”

전주전주시의회, 18~26일 행감…시민 제보 접수

정읍정읍 바이오매스발전소 건립 공사중지 가처분 신청 기각

군산군산 CNG·도시가스 요금 전국 최고 수준⋯ 시민 가계 ‘직격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