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제34주년 6·10민주항쟁을 기념하며 민주주의 발전에 헌신한 故 조성만 열사의 국민훈장 추서식을 가졌다.
지난 11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추서식에는 현재 전주에 거주하는 故 조성만 열사의 부모가 참석해 국민훈장 모란장 증서와 훈장을 열사 대신해 받았다.
1964년 12월 당시 전북 김제군 용지면에서 태어난 故 조성만 열사는 1980년 전주 해성고에 입학한 그해 5·18 광주민중항쟁이 일어났고, 1984년 서울대 자연대 화학과에 입학한 후 명동성당 가톨릭민속연구회에서 활동했다.
1987년 6월항쟁 시기에 서울의 거리와 명동성당에서 독재정권에 맞서 싸웠고, 서울올림픽을 앞둔 1988년 5월 15일, 명동성당 교육관 옥상에서 양심수 석방 등을 외치며 할복, 투신 자결해 현실을 외면하던 보수 종교계에 경종을 울리고 폭압적인 정권에 항거함으로써 민주화에 기여했다.
故 조성만 열사는 광주 망월동 민족민주열사 묘역 안장됐다.
송하진 도지사는 “민주유공자 조성만 열사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잊지 않겠다”면서 “34년 전 6·10민주항쟁에 함께 했던 시민들과 그 이후에도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헌신한 모든 분들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바친다”며 열사의 부모 손을 꼭 맞잡았다.
한편, 정부는 6·10민주항쟁을 기념하기 위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공이 큰 유공자 29명(국민훈장(모란장) 25명, 국민포장 3명, 대통령 표창 1명)을 선정했으며, 6·10민주항쟁의 정신을 기리는 ‘제34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을 지난 10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민주인권기념관 예정지(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개최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