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곤 논설위원
김승수 시장이 내년 6월 지방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 갑작스런 그의 거취 표명에 당혹스럽지만 일단 그 배경에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불과 얼마전만 해도 그의 행선지는 도지사와 3선 도전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다만 어느 자리가 최종 선택될 지 그게 관심사였다. 그랬던 그가 예상을 뒤집고 이 두 자리를 모두 마다하겠다고 돌출 발언을 한 셈이다.
주변에서 구구한 억측이 난무하지만 무엇보다 김승수 시장 부인의 농지법 위반이 결정타였다고 한다. 지난 4월 부동산 투기의혹으로 전국이 들끓자 김 시장은 누구보다 먼저 이를 적폐로 규정하고 전면전을 선포했다. 전주시가 연일 고강도 근절책을 쏟아내며 관련자 엄벌을 천명,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기도 했다. 실제 투기의심 다주택자 4명을 승진 탈락시키고 부동산 허위자료를 제출한 직원 승진도 취소했다. 더 나아가 전 직원 부동산 전수조사까지 진행하며 분위기는 뒤숭숭했다. 불똥이 어디로 튈지 몰라 직원들도 전전긍긍하고 있었다. 바로 그때, 이 모든 것을 진두지휘했던 김 시장의 아내가 투기에 연루됐다는 소식은 충격 그 자체였다. 내로남불의 전형으로 직원들 배신감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이후 직원들에게 그의 영(令)이 서지 않는 것은 물론 일거수 일투족을 바라보는 직원 시선조차 곱지 않았다고 한다.
정치권 일부에선 그의 불출마 선언에 대해 ‘국면 전환용 꼼수’ 라고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앞서 지적한 것처럼 지금은 어쩔 수 없이 물러나지만 곧 돌아올 거라는 뉘앙스를 강하게 담았다는 얘기다. 그러면서 김윤덕 의원과의 함수 관계를 주목하라고 권한다. 예상치 못한 김 의원의 도지사 출마 선언에 그의 스텝이 꼬였다는 소문이다. 송 지사에 맞서 연합 전선을 기대했던 김 의원 출마가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것. 그 이후 김 시장의 전주을 재선거 출마설이 불거진 것도 예사롭지가 않다. 이상직 의원의 재판 추이를 감안하면 내년 3월 대선이나 6월 지방선거 때 재선거가 동시에 치러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사실상 김 시장이 출마를 염두에 두고 공석인 지역위원장 선출 작업에 나섰다는 얘기도 들린다. 불출마를 서두른 것도 민주당 조강특위 구성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조강특위선 내년 지방선거 불출마를 전제로 대상자 선정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 시점에서 그의 선택지는 국회의원 출마로 가닥이 잡힌 것 같다. 실제 전주을 지역구로 이사하며 이런 추측을 가능케 하고 있다.
부인의 농지법 위반은 김 시장의 주홍글씨나 마찬가지다. 민주당 쇄신작업이 진행되는 가운데 부동산 투기의혹 국회의원에게 탈당 권유의 철퇴가 내려졌다. 이미 내년 지방선거 공천 때는 부동산 투기의혹 관련자의 페널티 부과 방침도 밝힌 바 있다. 이런 엄중한 상황에서도 김 의원의 지역구인 전주갑을 김 시장이 승계한다는 밀약설까지 나돌고 있다. 한 번 꼬인 스텝은 다시 뛸 때까지 재충전의 시간이 필요한 법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