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 무기 시장 점유율 10위, 주요 수출국 폴란드
탄소 강점 전주시, 폴란드 제슈프 등과 항공·방산 교류
이달 초 한국의 대규모 방산 수출 소식이 전해졌다. 현대로템이 생산하는 K2 전차의 폴란드 2차 수출 계약 협상이 완료됐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계약 규모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방산 업계 안팎에선 67억달러(약 9조원) 규모로 추정했다. 추정대로라면 단일 계약 기준으로는 역대 최고 규모가 된다. 이번 성과에서 보듯 폴란드는 한국의 주요 방산 수출국이다. 실제로 스웨덴 외교정책 연구기관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5년(2020~2024년) 동안 한국 방산 수출에서 폴란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4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시가 방산·탄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폴란드를 공략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몸집 키우는 K-방산⋯전북 탄소복합재, 방산과 연계
"6·25전쟁 당시에는 탱크 한 대도 없었지만, 75년 만에 우리는 세계 10위 방산 대국으로 성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8일 방위산업의 날에 언급했듯 한국의 방위산업은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세계 방위비 지출은 2조 7180억달러로 2015년 대비 37% 상승했다. 2024년 기준 미국 9970억 달러, 중국 3140억 달러, 러시아 1490억 달러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한국은 470억 달러로 11위를 기록했다. 이 같은 세계 방위비 지출 증가는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와 신기술 도입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한국의 세계 무기시장 점유율은 2.2%로 10위 수준이다. 주요 수출국은 폴란드, 필리핀, 인도 등이다. 최근엔 폴란드와의 대규모 계약을 계기로 수출 권역을 유럽으로 확대하는 추세다.
이러한 상황 속 방위산업 후발주자인 전북은 탄소·수소산업 등 지역적 강점을 바탕으로 관련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전주시가 집중 육성해 온 탄소복합재를 우주항공·방산과 연계하겠다는 것이다.
탄소복합재는 탄소섬유를 활용하거나 탄소섬유에 플라스틱 수지 등을 첨가해 만든 중간재, 부품 등을 일컫는다. 철보다 10배 이상의 강도를 지니면서도 철 무게의 4분의 1밖에 나가지 않는다. 탄소복합재의 수요산업인 우주항공·방위산업은 아직 국내 기반이 약해 그 시장이 협소한 편이다.
무엇보다 대기업 위주로 편성된 한국 방위산업에서 후발주자의 한계를 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방위사업청 지정 전북 방산기업은 다산기공(화력), 데크카본(항공유도), 동양정공(탄약), LS엠트론(기동) 등 4곳이다. 전국(83곳)의 4.8% 수준이다. 방산 관련 기업도 효성첨단소재, ANH스트럭처, 데카머티리얼, KGF 전주공장, 디쏠, 하이즈복합재산업 등 6곳에 그친다.
정부·지자체 간 협력 통한 '민관 생태계' 구축 필요
방위산업 수출은 '정부 간 협력'이 필수적이다. 정치적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한 정부 간 계약이 일반화된 분야인 만큼 정부 간 신뢰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 전주시도 지난달 폴란드 크라쿠프, 제슈프 등을 방문해 전주 탄소·방산기업의 국제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달 9일 폴란드 복합재기술클러스터(PKTK) 간담회에선 양 지자체 간 신규 협력사업 발굴, 기업 간 탄소복합재 협력, 주요 대학·연구기관 간 공동과제 발굴 및 인재 교류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한국탄소산업진흥원은 이 자리에서 폴란드 복합재기술클러스터와 2025 카본코리아(11월 19∼21일 예정)에서 양국 기업 간 기술 협력을 본격 논의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올해 하반기에는 AGH 공대, 크라쿠프 기술대 등 폴란드 주요 연구기관과의 공동과제 발굴 및 인재 교류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달 10일 제슈프 기업 비즈니스 콘퍼런스는 전주 탄소·방산기업들의 폴란드 진출 가능성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전주 참여기업인 데크카본은 이번 경제 교류의 성과로 폴란드 복합재 기술 클러스터(PKTK), 크라쿠프 기술센터 등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꼽았다. F-16, FA-50 등 항공기용 탄소브레이크 디스크 협력 논의도 일정 성과가 있었다.
향후엔 폴란드 방산·항공기업과의 일대일 후속 미팅을 통해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탄소복합재, 세라믹복합재 등 관련 시장 확장 전략도 구체화할 방침이다.
또 다른 참여기업인 아이버스는 전기버스로 제작된 어린이 통학버스의 유럽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를 뒀다. 특히 아이버스 측은 "친환경 통학버스 기술과 어린이 안전 시스템이 폴란드 등 유럽연합(EU) 국가에서도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EU의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전기버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전기버스 기반의 통학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특장차량 개발을 통해 유럽시장 진출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이번 경제 교류에 대해 "전주시와 폴란드 간 실질적인 국제 협력의 물꼬를 텄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산학연 연계를 확대하고 유럽시장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넓혀나가겠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