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전북칼럼] 나는 어떤 언어를 쓰는가

image
이광재 소설가

얼마 전 편의점에 갔을 때의 일이다. 젊은 알바생에게 물건 가격을 묻자 그가 답변했다. “000원이세요.” 선어말어미 ‘시’의 용법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이건 듣기에 이상한 말이다. 이 경우 선어말어미 ‘시’로 인해 높여지는 대상은 ‘상품’이다. 그 ‘상품’이 말하는 사람보다 상위자이므로 편의점 알바생보다 상위자인 셈이다. 어찌 상품이 사람보다 상위자일 수 있는가. 그래서 “000원이세요가 아니라 000원입니다.”라고 오지랖 넓게 알바생의 말을 교정해주었다. 그랬더니 그가 말했다. “저희 사장님이 그렇게 말하라고 하세요.” 그 말이 사실이라면 그 사장은 가게의 상품을 사람보다 높이 여기는 사람이다.

오염된 말의 용례는 또 있다. “지금부터 선수 입장이 있겠습니다.” 선수 입장이 어떻게 있다는 말인가. ‘있다’라는 말은 바위가 있다든지 나무가 있다든지 할 때 사용되어야 한다. ‘선수 입장’은 ‘있는 것’이 아니라 ‘하는 것’이다. “좋은 하루 되세요.”라는 말도 일상적으로 쓰인다. 하루가 어떻게 된다는 말인가. 콩이 메주가 된다거나 어떤 일이 엉망이 된다거나 할 때 ‘된다’라고 하면 된다. ‘좋은 하루’라는 말도 우리에게는 원래 없는 ‘Good day’를 직역한 말이다. 이런 걸 보면 분명해진다. 이 모든 언어 사용은 서구의 용법을 들여와 우리말에 적용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이었던가? ‘오렌지’를 ‘아린쥐’라고 해야 한다던 그 사람. 미국물 좀 먹었다는 식자의 꼴사나운 작태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이런 언어 사용은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쉽게 고칠 수 있다. 우리말의 이해를 바탕으로 약간의 긴장감 속에서 습관을 들이면 금세 입에 붙게 마련이다. 그러나 서구 유학을 다녀와서 고등교육 현장에 붙박여버린 엘리트들은 정말 두통거리다. 그들은 우리말을 사용하되 논리 전개는 저 그리스에서 시작된 문법을 따른다. 서구의 논리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저들이 참이냐 거짓이냐의 문제에 별 관심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참과 거짓이 아니라 논리 전개가 모순되느냐 아니냐를 신경 쓸 따름이다. 아무리 거짓을 쏟아내도 논리 전개에 모순이 없으면 그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는 인간의 언어로 모든 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는 서구적 근대의식으로 이어진다. 그들에게 ‘불립문자(不立文字)’ 같은 것은 미신으로 취급되어 배척된다.

그들의 언어만 문제인 것은 아니다. 서구를 인류의 롤 모델로 여기는 자들은 그것을 전파하는 데 여념이 없다. 그리하여 오늘의 ‘공화제’나 ‘민주주의’ 혹은 ‘대의제’ 등을 추호도 의심하지 않는다. 그들은 프랑스 혁명을 말하고 독일의 법철학을 언급하고 미국의 실용주의를 신줏단지로 여긴다. 그러면서도 동학농민혁명 과정에서 나타난 집강소나 광주민주화운동 당시의 공동체 같은 것은 언급하지 않는다. 오직 서구만을 외친다.

명색이 작가인 나 또한 서구의 언어를 사용하는 건 아닌지, 어느덧 서구인의 뇌를 나 자신으로 착각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 저쪽의 언어로 저쪽의 논리 구성을 따라 저쪽 세계관만을 열심히 설파하는 건 아닌지 걱정된다. 저 서구의 모더니즘 미학을 끊임없이 동경하면서 따라가지 못해 안달이 난 것은 아닌가. 그들의 눈으로 미술품을 보고 그 귀로 음악을 듣고 그 판단으로 세계를 이해하는 것은 아닐까. 나는 대체 누구인가. 정말이지 모골이 송연하다.

이광재 소설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