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복 터진' 나해수 전북도 교육소통협력국장
"상황이 급변하는 시기에 소통과 협력의 업무를 맡았다는 점에서 마음가짐이 남달랐습니다. 도정 현안이 실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열심히 하는 것뿐 아니라 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전북도청에선 익숙한 이름이 3급 개방형 부이사관, 임기제 공무원으로 발탁됐다. 새만금해양수산국장에 있던 나해수 국장이 교육소통협력국장에 임명된 것. 민선 8기 첫 교육소통협력국장이다. 김관영號 정무진 마지막 퍼즐로 불리며 하마평이 끊이질 않았던 자리에 전직 도청 국장이 자리를 옮겼다. 35년 동안 줄곧 지내왔던 곳에서 옷 하나만 바꿔 입었을 뿐인데, 우려보다는 기대가 훨씬 컸다. 임명 후 두 달이 채 안 되는 기간이었지만, 분주하게 움직였다. 나 국장은 "정무라는 것은 예전에는 국회나 의회를 지원하는 업무를 말했지만, 표현만 다를 뿐 집행부나 의회 모두 목표는 결국 전북의 발전과 도민의 행복이다"면서 "그 역할을 서로 잘 할 수 있게 가운데에서 가교 구실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교육소통협력국장은 국회와 지방의회, 정당을 넘어 시민단체까지 아우르는 정무적 협력을 끌어내면서 교육협력, 대학정책, 그리고 외국인 분야까지 총괄하는 역할이다. 민선 8기 직후 집행부의 정무진과 도의회간 가교역할 부재로 안팎에서 질타가 쏟아진 가운데 김관영 지사가 소통 강화를 약속하며 고안해 낸 자리다. 부임 이후 마음가짐 자체가 달라졌다고 말한다. 나 국장은 "전북도가 성장 모멘텀을 만들어 성과를 만들어내야 하는 시기에 역할이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고민도 하고 노력도 하면서 분주히 지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교육정책의 변화로 추진하는 RISE 사업에 무게를 두고 있다. 지자체가 주도해 대학 지원 사업을 총괄하게 된다. 이를 두고 나 국장은 "사업의 재원 배분이나 평가 등 규모도 크지만, 교육 본연의 역할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면서 "지자체 운영에 따라 지역에 맞는 인재를 기르고, 인재가 지역 내에서 취업을 하고, 정착을 하는지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개월이 채 지나지 않았지만 하루도 빠짐없이 소통과 협치에 대해 생각한다 말하는 나 국장은 "도정의 많은 현안들이 원활히 해결되기 위해서는 소통과 협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모든 분야, 범위를 넘나드는 소통으로 전북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나 국장은 군산 출신으로 1987년 군산시청에서 공직을 시작, 2000년 전북도청 전입 후 예산과장, 기업지원과장, 주력산업과장, 진안 부군수, 새만금해양수산국장 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