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공감 2023 시민기자가 뛴다] 꿀벌 실종설, 실제 상황은?
‘위잉~’ 몇 년 전까지만 해도 활짝 핀 꽃 주변에는 꿀벌들이 돌아다니기 바빴다. 그러나 최근에는 길에서 꿀벌 한 마리조차 보기 어려워졌다. 이런 현상은 우리 근처 뿐만 아니라 양봉농가에서도 나타나면서 점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올해 약 208억 마리 꿀벌 사라져 꿀벌은 꿀을 모으는 과정에서 꽃가루를 암술로 옮겨 열매가 맺힐 수 있도록 돕는 '화분 매개 곤충'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의하면 세계 100대 작물 중 71종이 꿀벌을 매개로 수분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꿀벌이 생태계에서 사라지면, 곤충에 의해 수정되는 식물 대다수가 번식할 수 없게 된다. 인간의 식량인 곡물, 채소, 과일 생산에 큰 타격을 주고, 인간 역시 큰 영향을 받게 된다. 국내 대규모 꿀벌 실종 사태는 지난해 1월~2월에 발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의하면 지난해 겨울에만 국내에서 월동 중인 약 78만의 사육 꿀벌이 폐사했다고 한다. 올해 들어서는 전국 농가 1만8826곳, 112만4000개의 벌통에서 꿀벌이 사라졌다고 한다. 벌통 1개당 평균 1만 5000~2만 마리가 산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는 지난해보다 약 3배 수치인 208억 마리가 사라진 셈이다. 지역별 벌통 피해는 경북이 25만7399개로 가장 많았고, 경남은 25만4187개, 경기는 13만8780개 순으로 피해가 컸다. 울산에서 양봉농가를 운영하고 있다는 ㄱ씨는 "매년 키우던 벌통 500개 중 올해 봄에만 약 300개 벌통에 있던 벌이 모두 사라졌다"며 황당함을 표했다. 이어 그는 “30년 넘게 양봉업 일을 해왔지만, 이런 현상은 처음"이라며 "꿀벌이 사라진 원인조차 가늠할 수 없어 황당하다"라고 호소했다. 벌통의 벌들 /픽사베이 지구온난화 등으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세계 벌의 날'을 맞은 20일 김종화 한국양봉협회 전북지회장이 자신이 운영하는 벌통을 들어 보이며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꿀벌 개체를 확인하고 있다. 오세림 기자△농가 18만 봉군 부족, 과일 수확량 20% 감소 꿀벌 실종 여파는 양봉농가뿐만 아니라 과수농가로도 향했다. 사과, 포도, 참외와 같은 국내 농작물 중 17.8%가 꿀벌 화분 매개가 없으면 생산량이 크게 하락하기 때문이다. 과수 및 채소 농가에서도 수분을 위해서는 꿀벌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꿀벌이 실종되면서 벌통 한 통을 빌리거나 구매하는 비용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성주에서 참외 농사를 짓고 있는 이영배 씨(56)는 "원활한 농사를 위해 매년 이맘때쯤에는 벌을 양봉농가에서 빌려다 종종 사용했었다"며 “벌통 한 통당 원래 빌리는 가격의 두 배 이상으로 올랐지만 이마저도 빌릴 수 없는 상황"이라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현재 성주에 있는 참외농장 5만여 동 중 4만여 동 가량이 꿀벌을 이용해 수분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금까지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올해는 약 꿀벌 18만 봉군이 농가에 부족했던 것으로 추측했다. 꿀벌에 의한 수분이 어려워지면서 농가의 과일 수확량은 전년보다 20~30% 감소할 것으로 추측되며 농산물 인플레이션 역시 걱정해야 할 상황에 직면했다. △꿀벌응애와 기후 변화, 밀원 부족으로 꿀벌 실종 그렇다면, 꿀벌은 어디로 왜 사라지게 된 것일까? 꿀벌 실종의 첫 번째 요인으로는 '꿀벌응애'다. 꿀벌응애는 꿀벌에게 전염병을 일으켜 집단 폐사에 이르게 하는 진드기다. 그동안 양봉농가는 꿀벌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기존 약재와 살충제 등 다양한 관리 방법으로 예방에 힘써왔다. 그러나 매년 똑같은 약을 되풀이해 쓰다 보니 어느 순간 꿀벌응애의 돌연변이가 생겨버렸다. 약재에 저항성이 생기게 되면서 꿀벌응애의 몸속에 있는 유전자가 변형됐고 더는 해당 약이 듣지 못하게 된 것이다. ㄱ씨는 "꿀벌은 지구에 꼭 필요한 곤충"이라며 "정부가 꿀벌응애에 대응할 수 있는 약재 개발에 힘을 써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 대두되는 요인은 기후 변화다. 꿀벌은 보통 3월이면 월동을 마치고 봄을 맞을 준비를 한다. 그러나 지구온난화로 지구 온도가 200여 년 만에 1.09도 상승하면서 꿀벌이 동면에서 깨기 전 꽃이 피었다가 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동면에서 깬 꿀벌들이 채집할 수 있는 꿀이 점점 부족해졌다. 세 번째 요인은 꿀벌에게 꽃가루와 꿀 등의 먹이를 주는 '밀원'이 국내에서 급격히 줄어든 것이다. 꿀벌은 아까시나무, 유채, 밤나무 등 다양한 밀원식물에서 꽃가루와 꿀을 섭취해 왔다. 특히 아까시나무는 천연 꿀을 70% 생산할 수 있어 지난 1980년대까지만 해도 32만ha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토지 개발 활동, 잦은 산불 및 강수 및 이상 고온 현상으로 인해 현재 3.6만ha로 감소했다. △지역 특화형 밀원수 식재 필요 그린피스 측은 사라져 버린 꿀벌을 되찾기 위해 밀원을 30만ha 정도는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내 밀원수는 대부분 아까시나무에 집중돼 있다. 그러나 하루 기준 꿀벌이 해당 꽃을 얼마나 찾아가는지 분석한 그린피스 자료에 의하면 아까시나무는 평균 372마리, 헛개수나무는 1470마리, 쉬나무는 1575마리였다. 또, 국립산림과학원 조사 결과에 의하면 ㏊당 꿀 생산량은 헛개나무는 301㎏, 쉬나무는 259㎏, 아왜나무는 125㎏로 이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각에서는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지역 특화형 밀원수를 심은 후 보급한다면 해당 문제를 빠르게 타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추가적인 꿀벌 집단 폐사를 막기 위해서는 응애를 없애기 위한 정부의 신약 개발 노력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유진 전 전북대신문 편집장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