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꿈의 교통수단이라고 자화자찬했던 경전철 사업이 백지화될 것 같다.막대한 사업비 조달 방안도 불투명한 상태에서 무작정 사업만 강행하려다 브레이크가 걸린 전주 경전철 사업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경전철은 지하철과 같은 중전철에 비해 가벼운 철도를 말한다.소형전철,모노레일,궤도버스,자기부상열차 등이 경전철에 포함된다.주로 15∼20㎞의 도시구간을 운행하며 운행속도는 지하철의 시속 80∼90㎞보다 떨어지는 60∼80㎞ 정도다.유지운영비가 싸고 환경친화적이라고 평가 받고 있다.
전주시는 2005년 10월17일 건설교통부로부터 경전철 건설을 위한 도시철도기본계획을 승인받았다고 홍보에 열 올렸다.지난 5년 동안 추진해온 전주경전철이 본궤도에 진입,전주경전철 시대가 개막되었다고 소개했다.반대위원 한명도 없이 3단계에 걸친 심의를 무사히 통과했고 전주경전철이 타 지역보다 사업타당성이 탁월했다는 평가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정말로 전주경전철 사업타당성이 탁월했을까.전주시는 2000년대들어 인구가 60만명대에서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인구가 늘어야만 대중교통수단 이용자도 늘게 돼 있다.그러나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전주시내버스 하루 평균 이용자수가 14만7000여명에 불과하며 자가용 증가로 해마다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그런데도 경전철 2개 노선이 완공되는 2013년 하루평균 경전철 이용자를 16만명으로 산출한 건 결국 전주경전철이 마치 사업성이 있는양 교통수요를 부풀린 것 밖에 안된다.
다음으로 사업비 4683억원 조달 방안도 국비 20% 도비 10% 시비 10% 그리고 민간사업자가 60%를 투자토록 돼 있지만 불투명한 수치다.5백억원 가까운 시비 확보도 문제지만 누가 선뜻 나서서 민간 투자를 하겠는가.시민 67%가 찬성한 전주경전철은 당초 예정대로라면 금년에 착공했어야 했다.자칫 정책판단미스로 용역비등으로 30억여원만 날릴 공산이 짙다.사실 용역이란 것도 얼마든지 주문자의 입맛대로 나오게 할 수 있다.
아무튼 전주경전철 착공여부에 대한 최종 판단은 송하진시장 몫으로 떨어졌다.물론 송시장으로서도 전임시장이 의욕적으로 추진한 사업이었기 때문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하지만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판단하면 문제는 쉽게 풀 수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