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공식으로 도입된 첫 자동차는 대한제국 시절인 1903년 미국 공관이 고종황제의 어차(御車)로 사용하기 위해 들여온 포드 A형 리무진이었다. 고종황제 즉위 40주년을 기념해 미국이 당시 우리 조정의 환심을 사기 위해 선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후 일제시대와 한국전쟁을 거친뒤 1976년 우리나라 최초 자동차 모델인 ‘포니’ 5대를 에콰도르에 수출하면서도 국내 산업보호를 위해 자동차시장은 개방을 미루었다. 외제차가 처음 수입된 것은 국산 자동차가 첫 수출된지 11년이 지난 1987년이었다.
자동차 시장개방 당시만 해도 외제차에 대한 국민적 정서는 국내 자동차 산업 위축과 외화 낭비, 가진자들의 과소비와 사치풍조로 인한 위화감 조성 등의 이유로 부정적인 시각이 절대적이었다. 수입개방 이후 2001년 최초로 1%의 시장 점유율에 도달하는데 까지 15년이 걸렸으니 외제차에 대한 사회적 반감 정도를 짐작할만 하다.
하지만 시장 점유율 1% 돌파후 최근 5년간의 외제차 증가속도를 보면 가히 초스피드급이다. 해마다 1만대 정도씩 늘어나면서 올해 수입량이 5만대를 넘어서 국내시장 점유율이 5.1%를 기록했다.시장 개방 20년만에 5%를 돌파한 것이다.이제 외제차는 서울등 대도시는 물론 웬만한 지방 소도시에서도 더 이상 낯선 차가 아니다.시장 개방 첫해 10대가 팔렸던 것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수입차 급증은 세계 시장개방 추세에 따라 불가피하다. 국산차와 선의의 경쟁을 통한 품질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국산차 운전자들에게 외제차는 공포의 대상이다. 자칫 접촉사고라도 발생하면 과실 정도를 떠나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하기 때문이다. 국산차에 비해 터무니 없이 비싼 부품값과 부르는게 가격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인 수리비가 그 원인이다. 접촉사고때 외제차의 잘못 비율이 더 커도 거꾸로 더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보험료를 더 내가며 보장한도를 높이는 운전자가 최근 크게 늘어나고 있다. 외제차만 보면 무조건 피하는 웃지 못할 광경까지 빚어지고 있다.
이런 추세로라면 몇년후 외제차 점유율 10%가 넘을지도 모를 일이다. 국산차 운전자들의 외제차 노이로제를 덜게 하기 위해서 외제차 부품및 수리비의 비뚤어진 가격구조를 바로 잡아야 할 시점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