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아시안게임 역도 '도핑 지뢰밭' 우려

다음 달 중국 광저우에서 열리는 아시안게임에서 역도가 도핑 지뢰밭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31일 국제역도연맹(IWF)이 갱신한 금지약물 출전정지자 명단에 따르면 2009년과 올해 전 세계를 통틀어 도핑이 적발돼 제재를 받은 선수는 59명이다.

 

이들 가운데 아시안게임에 출전하는 국가에 소속된 선수는 31명으로 절반을 넘는 52.5%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가 5명으로 가장 많고 이란, 카자흐스탄, 예멘, 아랍에미리트가 3명, 시리아, 대만, 타지키스탄이 2명, 중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카타르, 북한, 팔레스타인 등이 1명으로 뒤를 이었다.

 

IWF의 약물 검사가 각 회원국을 상대로 불시에 무작위로 이뤄진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아시아 국가들의 도핑에 대한 인식이나 관리 체계가 허술하다는 사실로 풀이될 수밖에 없다.

 

역도에서는 2006년 카타르 도하 아시안게임에서도 입상자가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메달이 박탈되는 사태가 불거졌다.

 

여자역도 75㎏급 은메달리스트 우 미얀산다(미얀마)가 금지약물 복용 사실이 확인됐고 그의 동료 키키 탄도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반응을 보여 선수자격을 잃었다.

 

우즈베키스탄의 엘미라 라밀레바와 팀 동료 알렉산더 유리노프도 체내에서 금지약물이 검출돼 출전정지 제재를 받는 등 역도에서 4명이나 도핑선수가 나왔다.

 

지난 9월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도핑 테스트와 관련해 빚어진 촌극을 보면 도핑에 대한 각국 역도연맹들의 인식은 그다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IWF는 대회를 앞두고 테스트 절차의 하나로 선수 소재지 확인을 시도했으나 출전국 81개국 가운데 무려 19개국이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규정대로라면 소재지 확인에 응하지 않은 선수는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선수와 같은 제재를 받게 된다.

 

하지만 IWF는 이들 국가의 선수들이 불참하게 되면 최고 행사인 세계선수권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해 제재금 5천 달러를 부과하며 재발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경고하는 선에서 사태를 봉합했다.

 

이번 아시안게임 주최국인 중국은 최근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와 단거리 스타가 도핑이 적발되는 수모를 당한 바 있어 전례 없이 강력한 검사를 치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여자 유도 금메달을 딴 통웬이 출전이 2년간 정지됐고 작년 중국 전국체전 여자 100m의 챔피언 왕징은 영구제명됐다.

 

중국 체육당국은 "다가오는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가장 엄격한 검사체계를 조직할 것"이라며 "베이징올림픽 이후에도 우리가 경계심을 전혀 풀지 않았다는 사실을 세계에 보여주겠다"고 밝혔다.

 

이런 전반적인 분위기를 감안해 국제종합대회에서 도핑 지뢰밭 역할을 했던 역도에서 다시 불미스러운 결과가 나오는 게 아닌지 우려가 적지 않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애향본부, ‘전북애향상’ 후보자 21일까지 접수

사건·사고남원 교차로서 사륜 오토바이와 SUV 충돌⋯90대 노인 숨져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