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한국축구 수비조직력 강화, 여전한 과제"

"수비 조직력을 강화하고 경기력에 기복이 심한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지역 3차 예선 2차전을 지켜본 축구 전문가들은 7일 B조에서 가장 전력이 탄탄한 것으로 평가되는 쿠웨이트와의 원정 경기에서 패하지 않고 승점 1점을 따낸 것은 나쁘지 않은 결과라고 입을 모았다.

 

신문선 명지대 교수는 "조 편성이 됐을 때부터 쿠웨이트 원정이 가장 큰 고비로 봤는데 다행히 패하지 않았다"며 "우리 전력이 10이라면 중동 원정에서는 잘해야 8정도밖에 발휘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신 교수는 "특히 2일 홈 경기를 치르고 장거리 비행에 이어 바로 6일에 원정 경기를 뛴다는 것은 해보지 않은 사람은 알기 어려울 만큼 체력 부담이 엄청나다"고 덧붙였다.

 

김대길 KBS N 해설위원은 "2일 레바논전에서 6-0으로 크게 이겼지만 선수들의 컨디션이 좋지 못했다"며 "또 당시 조직력으로 경기를 풀어간 것이 아니라 일대일 능력으로 득점을 올린 것이라 쿠웨이트 원정에 우려가 컸지만 다행히 무승부를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수비 조직력의 강화는 여전히 남은 과제라는 평이 쏟아졌다.

 

신 교수는 "공격을 하다가 공을 상대에게 뺏겼을 때 수비수와 미드필더의 간격 유지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며 "실점 장면을 포함해 몇 차례 수비 숫자가 많은데도 우왕좌왕하는 모습이 자주 노출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체력 부담 탓인지 조광래 감독이 강조하는 빠른 스피드와 압박을 찾아보기 어려웠다"고도 꼬집었다.

 

김 위원은 "차두리, 홍철 등 레바논과의 1차전 때 측면 수비수들이 공격 가담을 많이 한 것을 쿠웨이트가 잘 이용했다"고 했다.

 

그는 "그쪽을 중점적으로 노리는 장면이 많이 나왔다"며 "어차피 우리 팀이 3차 예선이야 통과하겠지만 최종 예선, 본선에 갔을 때는 보완해야 할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김 위원은 또 대표팀 경기력에 기복이 심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6월 세르비아, 가나와의 평가전 때와 같은 경기력이 꾸준히 나와야 하는데 일본전 패배 때나 이번 쿠웨이트 경기에서는 기복이 있는 모습을 보였다"며 "레바논과의 경기도 6-0 승리를 했지만 선수들의 움직임이 많이 둔해 보였다"고 말했다.

 

김 위원은 "특히 소속팀에서 출전 기회가 많지 않은 해외파 선수의 컨디션 점검을 더 세밀하게 할 필요가 있다"며 "주전과 비주전의 기량 차이를 줄여야 최종 예선과 본선에서 경쟁력을 더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자치·의회전북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 실시

사회일반문형배 전 헌재 소장 “지역균형발전은 좋은 정책 아닌 유일한 정책”

교육일반[NIE] 좁아진 일자리의 문과 해외로 향한 청년, 그 뒤에 남겨진 질문

스포츠일반[전북체육 종목단체 탐방] (13) 전북자치도씨름협회

오피니언[사설]새만금 글로벌청소년센터, 활용 방안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