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나이 드신 분들은 시골 환경이 좋나요?
A. 치매가 걱정되어 병원에 찾는 노인환자들을 보면 시골에 혼자 사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시골 환경이 노인들에게 어울려 지낼 이웃이 있고 익숙한 환경으로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력이 떨어지고 일상적인 일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혼자 지내는 것은 어렵습니다. 병원에서 만나는 혼자 사시는 환자들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영양 상태가 불량한 경우, 혼자 생활하면서 안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치매나 중풍 등이 진행되는데 발견이 늦는 경우 등입니다. 치매 환자가 시골에서 지내야만 한다면 적절한 관련시설과 서비스의 이용 등을 고려해야합니다.
Q. 중풍은 운동이 최선의 치료인가요?
A. 중풍환자들은 초기 치료를 하고 나면 대부분 운동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중풍의 치료에서는 운동 뿐 아니라 약물치료, 언어 인지 재활, 금주, 금연 등이 함께 중요합니다. 중풍은 치매의 주요한 원인질환입니다. 치매와 관련해서는 중풍을 잘 치료하는 것과 예방하는 것이 치매를 예방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Q. 예전에 뇌경색이 있으셨는데 며칠 전부터 이상한 행동을 보입니다. 치매일까요?
A. 팔다리가 마비되는 운동장애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보통 중풍의 발생을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중풍은 뇌혈관에 문제가 생겨 정상적인 뇌의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운동 뿐 아니라 감각, 언어, 인지 등 매우 다양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과거 뇌경색이 있었던 환자에서 행동의 이상을 보인다면 중풍이 재발했을 가능성을 생각하고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혈관성 치매라고 부르는 중풍과 관련된 치매는 치료하면 상당히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Q. 한의학에서 보는 치매란?
A. 한의학에서는 혈관성 치매는 중풍치매라고도 하여 치료는 중풍의 치료에 준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중풍의 원인이 되는 담과 어혈을 치료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 약들이 사용됩니다. 혈관성 치매의 경우 빠르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고 중풍환자는 재발과 치매를 막기 위해 지속적으로 복약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화와 관련해 나타나는 치매는 한의학에서는 허증의 범주로 파악되는 경우가 많으며, 나타나는 증상들의 특징에 따라 또는 체질적 특성에 따라 약물치료를 시행합니다. 최근 치매에 대한 한방처방과 약물들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효과적인 약물들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김락형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