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따뜻한 서정과 맑은 연민 보여주고 있어"

시 심사평

▲ 송하선

시인

▲ 문태준

시인

심사는 비교적 수월하게 진행되었다. 심사위원들은 한 편의 시가 유기적 구조를 갖추고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보았다. 작품의 처음과 끝이 조직화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난해한 시를 배제하지는 않았다. 난해한 시는 명상과 사색에서 탄생한 것으로서 유심하게 들여다보면 해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심사위원들이 곤란하다고 본 시는 비록 그것의 파편적 언어와 기발한 상상력이 부분적으로 절창을 낳더라도 맥락의 구조화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였다. 시행의 전개가 연상에 의해 진행되더라도 산만하고 까다롭기만 한 경우는 제외시켰다.

 

고현도의 '까치의 독후감' 외 2편은 안정되고 사려 깊은 시편들이었다. 시류에 영합하지 않는 장점이 돋보였고, 오래 다듬은 흔적도 역력했다. 그러나 정아(正雅)하기만 할 뿐 새롭고 기발한 해석이 부족했다. 규정하고 설명하는 진술이 많은 것도 시의 맛을 떨어지게 했다.

 

반면에 임해야의 '독도' 외 4편은 전체적으로 보아서 사고가 기발하고 분명했다. 그런데 이 기발하고 분명함의 수준이 투고한 작품들 사이에서 편차가 컸다. '독도'나 '쿼드러츠學' 같은 작품들은 상상력이 뛰어났으나 그 착상 자체는 진부하고 평범했다. 그래서 연상이 과잉되게 사용되고 있는 느낌을 갖게 했다. 시적 질문이 보다 더 독특하고 다양한 곳에서 생겨났으면 좋을 듯하다. 당선작과 마지막까지 경합한 작품들이었음을 밝혀둔다. 분발을 당부한다.

 

이도율의 '노숙' 외 3편은 진지한 작품들이었다. 순정이 있는 따뜻한 서정을 보여주었다. 옹동이라는 곳의 맵고도 신 삶의 풍경을 보여준 '항아리'도 좋았으나 심사위원들은 '노숙'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우화적 요소가 가미되었으나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맑은 연민에 이르고 있다는 점도 이 시의 장점이었다. 시단에 좀 늦게 나오는 만큼 정신을 곤두세워 부지런히 좋은 작품을 쓰길 바란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엔비디아 GTC 현장을 가다] ①산업 재편과 문명적 도약 예고한 젠슨 황

만평[전북만평-정윤성] 정년연장 필요성!..그러나…

정치일반李대통령 “소방공무원 헌신으로 평범한 일상 가능…걸맞은 예우 다할 것”

전주금요일 오후 2시 퇴근…전주시, 주 4.5일 근무제 시범 운영

정치일반더민주전북혁신회의 3기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