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심근경색·협심증 등 다양하게 나타나…채식 위주 식단·규칙적인 운동으로 예방해야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우리의 식습관은 서구의 기름진 음식들에 맞춰지고 생활환경은 편리해졌지만 앉아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을 만큼 운동범위가 극히 좁아졌다.
따라서 사용되고 남은 에너지는 모두 지방과 노폐물로 변해서, 몸 속 혈관에는 콜레스테롤과 각종 노폐물들이 쌓이게 되고 혈관벽은 점차 좁아진다. 산소와 영양분을 운반해야 하는 혈류가 좁아진 혈관벽에 가로막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면 산소와 에너지가 결핍되는 동맥경화증이 나타나게 된다.
동맥경화증의 치료는 무엇보다 체내에 쌓인 콜레스테롤과 중금속, 활성산소를 줄여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지방이 많고 기름진 서구식 식습관에 익숙해졌다면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식위주의 식단으로 대체해야 한다. 염분이 높은 음식은 피하고 도정되지 않는 곡류 섭취를 늘린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노폐물을 적극적으로 배출해내는 것 또한 중요하다.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한방내과 장인수 교수에게 동맥경화증의 원인과 증상, 위험인자 관리 등에 대해 알아본다.
△동맥경화증의 원인
동맥경화증은 피가 순환하는 동맥 혈관의 탄력이 떨어지고, 동맥에 혈전 등이 생기면서 서서히 동맥이 좁아지는 상태를 말한다. 동맥경화증은 인체 노화 현상의 하나로서 성인 사망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원인이 되며, 나이가 들게 되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 동맥경화증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로는 고지혈증이 가장 대표적이며, 아울러 고혈압, 흡연, 당뇨병, 비만, 운동부족 등이 있다. 이러한 위험인자들은 동맥경화증을 촉진시키며, 순환기병을 초래하게 된다.
△죽상동맥경화증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흔히 먹는 '죽'이란 말을 순 한글 말로 아는 분이 많은데, 한글이 아닌 한문 단어다. 죽(粥)이라고 쓴다. 죽상(粥狀)이란 말은 바로 이 죽과 같이 끈적끈적한 모양으로 동맥경화증이 일어나는 것을 말하며, 비교적 큰 대혈관의 안쪽에 죽이 뭉친 죽종이 형성되는 동맥경화증을 말하며, 죽종이 갈라지거나 터지면서 혈전을 만들어내는 동맥경화증을 의미한다. 이 죽상동맥경화증은 큰 동맥에서 많이 생기기 때문에 위험성이 크고, 우리 몸의 엔진이라고 할 수 있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왕관 모양의 혈관인 '관상동맥'에서 가장 흔하기 때문에 위험한 심장 질환과 관련성이 깊고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동맥경화증의 증상
오랜 세월에 걸쳐서 혈관이 낡아서 생기게 되는 동맥경화증 자체는 특징적인 증상이 없다. 그러나 몸의 각 기관에 혈액을 공급해야 하는 혈관이 노화되어 생기기 때문에, 뇌동맥에서 발생하면 뇌경색(중풍)을 일으키며,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발생하면 심근경색, 협심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 밖에도 팔다리에서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말초동맥경화증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한 곳에서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중풍 증세나 심장 질환의 증세, 팔다리의 증세가 각각 올 수 있다.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
동맥경화증의 여러 위험인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지혈증과 고혈압, 흡연이 있다. 피에 기름기가 많아지는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등이 높은 것을 말하며, 동맥경화를 악화시키게 된다. 여기에 높아진 혈압은 동맥이 탄력을 잃고 딱딱해지게 만들며, 흡연 또한 동맥경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위험하다.
당뇨와 비만도 역시 매우 중요한 위험인자로서, 이들 위험인자를 잘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도움말=우석대 부속한방병원 장인수 교수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