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항구에 묶인 전기버스, 예산확보 서둘러라

전북지역 버스업체에서 구매한 중국산 전기버스 20대가 평택항에 4개월째 묶여 있다. 정부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전기버스 구매 지원사업을 추진했고, 이 업체에서도 지난해 초 전주시의 공문에 따라 구매를 신청했다. 이후 국비와 도비 보조금이 확정되면서 중국산 전기버스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전체 보조금의 35%를 차지하는 시비 보조금 예산이 지난해 9월 전주시의회 예결위 추경안 심사에서 전액 삭감되면서 차질이 생겼다. 수입한 전기버스 20대는 평택항에 발이 묶인 채 그야말로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그러면서 하루 약 90만원에 달하는 차량 보관료까지 업체가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시의회는 중국산 버스를 도입한다는 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성능이 떨어지는 중국산 전기버스가 아닌 국산 전기버스로 지원 대상을 제한해야 한다는 논리다. 또 친환경 수소차를 생산하는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이 있는 만큼 수소버스를 구입하는 게 도움이 된다는 이유도 들었다. 하지만 국내 업체에서는 시외버스용 전기차량을 생산하지 않아 중국산으로 결정했다는 게 업체의 항변이다. 애초 지자체가 국산 전기버스에만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었다면 아예 처음부터 이를 명시했어야 했다. 게다가 전기버스를 도입하는 세계 대부분의 국가가 중국산을 택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운송업체들이 직수입하는 등 중국산 전기버스 도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또 국·도비가 이미 교부된 이 사업은 전기버스 보급으로 용도가 정해져 수소버스 구매로 변경하기도 어렵다. 중국산 전기버스의 성능과 안전성 문제까지 들어가며 전기버스 구매 지원사업을 중단시킨 전주시의회의 명분이 약하다.

정부의 정책과 지자체의 행정을 믿고 전기버스 구매사업을 추진한 지역업체의 안타까운 상황을 들여다봐야 한다. 인구절벽시대, 코로나19에 따른 승객감소에 고유가까지 겹친 악조건 속에 경영합리화 차원에서 맘먹고 추진한 사업이다.  급기야 노조까지 나서 조속한 예산 지원을 촉구했다. 지역업체의 억울한 피해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정부 정책과 행정의 신뢰성이 무너져서는 안 된다. 지난해 확보된 국·도비 지원금은 명시이월됐다. 시비를 확보해야만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상황이다. 전주시의회는 올 추경예산안 심의에서 반드시 관련 예산을 통과시켜야 한다.

 

전북일보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7일 개최

법원·검찰장애인 속여 배달 노예로 만든 20대 남녀⋯항소심서도 ‘실형’

익산10월 익산 소비 촉진 정책 ‘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