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범기 전주시장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전주의 대도약을 위한 10대 역점전략을 제시하면서 첫 번째로 완주·전주 통합을 언급했다. 전북특별자치도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 실현과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해 완주·전주 통합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는 것이다. 완주·전주 통합은 우 시장의 민선 8기 1호 공약이다. 그리고 완주·전주 통합은 갈수록 줄어들어 소멸 위기에 놓인 전북이 살아남기 위해 돌파해야 할 해법 중 하나다. 전주시장뿐 아니라 당사자인 유희태 완주군수, 그리고 김관영 도지사도 여기에 특단의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그동안 과정을 살펴보면 통합이 쉽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첫째, 당사자들이 진정성을 가져야 한다. 우 시장은 이번 회견에서 전주시와 완주군 통합은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행정차원의 지원방안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우 시장의 행보를 보면 과연 진정성이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없지 않다. 입으로는 통합을 외치면서 지난해는 이에 대한 실천이 거의 없었다. 오히려 선거 캠프에 관여했던 사람들을 앞세워 통합운동을 흐리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또 유 군수는 완주군의 시 승격을 내세우며 통합을 공공연히 반대하고 있다. 김 지사는 특자도 출범 후에는 완주·전주 통합에 적극 나서겠다고 표명한 바 있다. 하지만 4월 총선을 핑계로 소극적 입장이다. 진정성을 갖고 좀더 적극적으로 임해주었으면 한다.
둘째,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완주·전주 통합시는 2026년 7월 1일 출범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약 2년간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통합건의- 통합방안 마련(지방시대위원회)- 여론조사 및 통합권고- 지방의회 의견청취- 주민투표 실시요구- 주민투표 실시- 통합여부 결정- 통합추진계획 마련- 통합자치단체 설치 법률 마련- 통합자치단체 출범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실제로 2014년 통합된 청주시·청원군의 경우나 실패한 완주·전주의 경우 모두 선거 2년전에 주민투표를 실시했다.
이를 위해 민간단체인 (사)완주전주통합추진연합회는 올해 6월을 목표로 주민투표 서명작업에 돌입한 상태다. 당사자들과 도민들은 전북발전의 구심력 회복과 성장의 기폭제를 만들기 위해 대승적으로 동참했으면 한다. 시간이 촉박하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