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전통 공예는 대부분 숙련된 기법으로 가치를 품는다. 낙죽(烙竹)도 그중 하나다. 낙죽은 불에 달군 인두(烙鐵)를 사용해 대나무의 겉면을 태워 글씨와 그림, 문양 등을 새기는 전통 공예 기법이다. 합죽선이나 참빗, 붓대 같은 소품과 문방구 등 대나무를 재료로 한 공예품에 다양하게 활용되어 그 가치와 아름다움을 높이지만, 그중에서도 낙죽 기법으로 품격과 완결성을 제대로 갖추게 되는 것은 합죽선이다.
기법으로만 보면 낙죽은 대나무에 문양을 새기는 단순한 과정이다. 그러나 대나무의 단단한 마디까지 품어 다양한 문양을 새기는 작업은 그리 간단치 않다. 손에 의한 공예 기능이 대부분 그렇지만 낙죽은 특히 오랜 경험과 반복된 훈련 과정을 거쳐야만 숙련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낙죽 장인들이 많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낙죽장은 1969년 국가중요무형문화재(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됐다. 역사는 짧지 않으나 그동안 지정된 기능보유자는 세 명뿐이다. 그중 두 명은 해제되어 현재 국가 차원의 보유자는 한 명이다. 다행히 전북에서도 지난 2013년 낙죽장 종목이 지방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보유자는 이신입 명장이다.
그는 합죽선으로 전주 부채의 명맥을 이었던 선자장 고 이기동 명장의 아들이다. 덕분에 어린 시절 자연스럽게 부채 만드는 기능을 익혔으나 아버지는 아들에게 선자장 맥을 잇게 하는 대신 낙죽을 배우라고 권했다. 스무 살 무렵부터 낙죽 기법을 배워 익힌 그가 아버지의 뒤를 잇는 선자장 이수자이면서도 낙죽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어 50년 가까운 합죽선의 역사를 지켜오게 된 배경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낙죽에 쓰이는 인두는 전기인두로 변화했다. 편의성을 높인 셈이다. 그러나 그는 현대적 방식에 마음을 주지 않고 오직 화로에 숯불을 피우고 달궈진 인두로 문양을 새기는 전통 방식을 고집해왔다.
자신만의 기법으로 낙죽의 세계를 넓혔던 이신입 명장이 지난 9월 초 세상을 떠났다. 지병으로 고통을 받으면서도 대중의 관심을 저버리지 않았던 그는 자신을 찾는 낙죽 실연 요청에도 가장 성실하게 응했던 장인이다. 그만큼 낙죽 기법의 대중화를 향한 그의 바람은 컸다.
고된 삶에도 전통을 지키기 위해 분투했던 장인들이 하나둘 세상을 떠나고 있다. 그들이 떠난 후 전통 공예의 명맥은 잘 이어지고 있을까 궁금해진다. 돌아보니 환경이 녹록지 않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젊은 세대의 진입은 적고 기능보유자들을 지원하는 제도적 한계는 크다. 후계자는 있으나 기능보유자 지정이 늦춰져 단절될 위기에 처하기도 한다.
한국문화에 세계가 환호하고 있지만, 여전히 보존과 전승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 전통문화의 현실. 안타깝다./김은정 선임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