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기고] 노잼도시에서 꿀잼도시, 잼잼도시 전북으로

image
최병관 전 전북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민족의 대명절 한가위가 다가왔습니다. 둥근 보름달처럼 풍성한 마음으로 가족과 이웃이 함께 모이는 이 시기, 우리는 고향의 소중함과 공동체의 따뜻함을 다시 느낍니다. 그러나 명절이 끝나면 늘 반복되는 안타까운 현실이 있습니다. 해마다 8천 명이 넘는 청년들이 전북을 떠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고향은 잠시 머무는 곳일 뿐, 삶의 터전으로 삼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전북의 청년들이 왜 떠날까요. 일자리, 문화, 교육, 주거 등 모든 면에서 기회가 부족하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스스로 ‘노잼도시 전북’이라 자조하는 목소리도 들립니다. 하지만 저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노잼도시를 꿀잼도시, 더 나아가 잼잼도시로 바꾸자’는 희망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좋은 예가 있습니다. 한때 대전은 대표적인 ‘노잼도시’로 불렸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전국에서 사람들이 몰려오는 ‘꿀잼도시’로 변모했습니다. 그 중심에는 성심당 빵과 칼국수가 있습니다. 빵집과 칼국수가 도시를 바꿀 수 있을까 싶지만, 실제로 그것이 도시의 브랜드를 만들고, 머무를 이유를 만들었습니다. “대전에 가면 성심당을 가야 한다”, “칼국수 한 그릇은 먹어야 한다”는 말이 일상처럼 퍼지며, 대전은 머무는 도시가 되었습니다.

이처럼 도시의 매력은 거창한 것이 아니라, 시민의 삶과 맞닿은 재미와 활력에서 비롯됩니다. 전북도 할 수 있습니다. 전북만의 문화, 먹거리, 관광, 그리고 새로운 콘텐츠를 연결해 머무는 도시, 활력 넘치는 도시로 바꿀 수 있습니다.

저는 그 상징적 출발점으로 ‘익산형 돔구장’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 돔구장은 단순한 체육관이 아닙니다. 국내외 공연, 스포츠, 전시가 사계절 내내 열리고,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고, 가족 단위로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입니다. 도쿄돔이 일본의 랜드마크이듯, 익산형 돔구장은 전북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습니다. 수도권으로 떠나는 대신 전북에 머물며 즐기고, 외지인들이 전북을 찾아오는 새로운 계기가 될 것입니다.

물론 돔구장 하나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돔구장은 우리 전북이 변할 수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이곳에서도 세계적인 공연을 볼 수 있다”, “아이들과 함께 다양한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젊은이들이 모이고 기회가 생긴다”는 확신을 줄 수 있다면, 전북은 더 이상 떠나는 땅이 아니라 머무는 땅이 될 수 있습니다.

노잼도시 대전이 꿀잼도시로 바뀌었듯, 전북도 잼잼도시로 바뀔 수 있습니다. 청년이 웃고, 가족이 즐기고, 어르신이 편히 머무는 도시, 그 속에서 새로운 활력이 넘치는 전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추석 보름달은 늘 같은 자리에서 우리를 비추지만, 우리의 청년들은 해마다 전북을 떠나고 있습니다. 이제는 달빛을 바라보며 새로운 약속을 해야 할 때입니다. 머무는 전북, 잼잼 전북, 활력 넘치는 전북을 만들겠다는 다짐 말입니다. 떠나는 발걸음을 붙잡고, 돌아오는 발걸음을 맞이하며, 머무르는 발걸음을 즐겁게 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함께 열어야 할 길입니다.

올 추석, 가족과 함께 나누는 따뜻한 대화 속에 전북의 내일을 함께 그려보길 소망합니다. 달빛처럼 환한 희망이 전북 도민 모두의 삶 속에 가득 차길 기원합니다.

최병관 전 전북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