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동학농민혁명의 이름이 바로서야 전북의 역사 완성될 것”… 박종호 전주·완주 동학농민혁명 유족회장

동학농민혁명 후손 수백 명 발굴해 온 7년…“역사가 끊긴 자리에서 이름을 다시 찾는 일…전북의 역사 잊지 말아야”

박종호(81) 전주완주 동학농민혁명 유족회장

최근 전주 한옥마을 언덕 아래 동학혁명기념관 지하 1층에 전주·완주 동학농민혁명 유족회의 새 사무실이 문을 열었다. 

박종호(81) 유족회장은 이곳을 “이름을 찾아가는 일의 시작점”이라 소개한다. 흩어진 후손을 다시 모으고 지워진 역사를 회복하기 위한 거점이라는 뜻이다.

임실 청웅면 출신인 그는 25년 동안 천도교 교구장을 지낸 아버지 덕에 어려서부터 동학농민혁명 이야기를 들으며 자랐다. 그의 증조할아버지 고 박순만(1851년생)옹 역시 동학도로서 3월 운암 지천리 기포를 시작으로 방아재·남원성 전투에 참여한 뒤 피신해 살다 1932년에 생을 마친 인물이다. 이런 가족사의 영향은 박 회장에게 동학을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닌 ‘이어야 할 뿌리’로 남겼다.

박 회장은 2010년대 초 사실상 해체된 전주·완주 유족회를 2019년 재창립했다. 그러나 명부는 부정확했고 상당수 후손은 세상을 떠나거나 주소가 끊겨 찾기 어려웠다. 그는 이러한 현실에도 굴하지 않고 지난 7년 동안 전주와 완주를 돌며 수소문해 후손은 700여 명을 찾아냈다. 연락이 닿는 인원은 200명 정도였다. 

재개발로 집이 사라지고 고향을 떠난 이들이 많아 한 명을 찾는 데 한 달이 걸리기도 했지만, 그는 “후손을 찾는 일이 서훈과 명예 회복으로 이어진다”는 믿음으로 일을 계속해왔다고 당시를 소회했다.

그의 활동 뒤엔 동학농민혁명이 왜 ‘기억되어야 하는 역사’인지에 대한 인식이 자리한다. 

1894년 고부에서 일어난 봉기는 호남과 전국으로 확산하며 부패한 조정을 향해 새로운 질서를 요구하는 운동으로 발전했다. 

하지만 청군과 일본군이 개입하면서 동학농민군은 외세에 맞선 항일 무장투쟁으로 다시 일어섰고, 우금치 전투에서 수만 명이 포화 속에 희생됐다. 이후 일본군과 관군은 고향의 가족까지 ‘반역도’로 몰아 색출했고, 후손들은 생존을 위해 이름과 혈통을 숨길 수밖에 없었다. 오늘날 유족을 찾기 어려운 이유 역시 이 역사적 단절에서 비롯된다.

이에 따라 최근 전북특별자치도는 내년부터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유족에게 매월 5만 원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박 회장은 박정규·염영선 도의원과 함께 조례 개정을 설득하며 “동학농민혁명은 전북의 역사이자 국가의 역사”라고 강조해왔다. 더불어민주당이 2차 봉기 참여자 서훈 추진을 공식화하며 국가적 인정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박 회장은 끝으로 “동학농민혁명의 후손이라는 사실을 스스로 말하지 못한 세월이 너무 길었다. 우리가 이름을 다시 불러낼 때 비로소 그 역사가 완성된다” 강조했다. 

한편 지난 21일 전주 한옥마을 동학혁명기념관 지하 1층에 새로 개소한 동학농민혁명 전주·완주 유족회 사무실은 유족 간 소통과 기념사업 추진을 위한 거점 공간으로,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정기 운영된다.

이준서 기자

이준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금융·증권국민연금, 추납보험료 산정 기준월, ‘납부기한 속 한 달’로 변경

문화일반공립미술관 전북에 추가 설립될까…전문인력·운영 한계 ‘과제’

초중등[NIE] 지역균형발전, 두 시선의 사이에서

오피니언[사설] 조국혁신당, 지방선거에 민주당 대안 돼나

오피니언[사설] 상습 음주운전, 단속과 예방 병행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