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혁신 플랫폼 역할 강화 지역상생 AI 기반 교육 모델 제시 김윤태 부총장 ‘전북경제, 꼴찌 탈출의 기회가 왔다’ 기조강연
우석대학교가 지역 혁신 플랫폼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과 상생하는 AI 기반 교육 모델을 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우석대학교는 26일 전주캠퍼스 대학 본관 23층 완주·우석 전망대 W-SKY 23에서 ‘제3회 공생과 도전 전북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는 박노준 우석대 총장과 정희석 산학협력단장, 전북일보 윤석정 사장과 백성일 부사장, 유정기 전북교육청 교육감 권한대행, 유희태 완주군수, 유의식 완주군의회 의장, 윤여봉 전북경제통상진흥원장 및 학생과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AI와 지역교육의 미래’를 주제로 지역사회와 대학이 함께 AI 시대를 준비하고, 지속 가능한 지역교육 협력 모델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희석 산학협력단장의 개회사로 시작된 이날 포럼은 박노준 총장의 환영사와 유희태 완주군수, 유의식 완주군의회의장, 유정기 전북특별자치도 교육감 권한대행의 축사가 이어졌다.
이어 김윤태 대외협력부총장 겸 AI혁신추진위원장이 ‘전북경제, 꼴찌 탈출의 기회가 왔다’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김윤태 부총장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제 혁신과 AI 기반 산업을 통한 성장 가능성에 대해 강연하며, AI 기술이 지역 발전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했다.
이후 특별강연에서는 김상균 경희대학교 교수가 ‘AI시대를 이끌 인재를 위하여’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김상균 교수는 급변하는 AI 환경 속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과 미래 인재상을 설명하며, 교육 현장의 구조적 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특별강연자로 나선 황우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2030 전북 에너지 자립 탄소중립도시 조성, AI 전문인재 양성과 글로벌화 전략’을 주제로 전북특별자치도의 에너지 전환 전략과 AI 기반 전문인력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발표했다.
또한 김천홍 교육발전지원센터장은 ‘완주군 교육발전특구와 AI: 생성형 AI와 피지컬 AI가 만나다’를 발표하며, 완주군의 교육 특구 정책과 연계한 AI 기반 교육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이미경 전주캠퍼스 RISE사업단 부단장은 ‘WIN-RISE와 AI 혁신 전략’을 통해 지역 혁신 플랫폼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AI 기술 융합을 통한 지역 발전 전략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성희 교무처장 겸 교육혁신본부장은 ‘AI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혁신’을 주제로 학생과 지역 주민 모두가 참여하는 AI 교육 생태계 구축 방안을 소개했다.
박노준 총장은 “AI 시대의 거대한 전환에 발맞춰 우리 대학교는 ‘지역과 함께 성장해야 한다’는 믿음과 신념을 굳건하게 키워가고 있다”라며 “이번 포럼이 전북특별자치도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지역 경제 비전과 AI 기반 지역교육 혁신, 에너지 전환 전략 등을 폭넓게 논의하는 소중한 장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또한 박 총장은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식견과 어젠다가 지역과 대학이 함께 그려갈 지속 가능한 미래의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포럼은 우석대학교와 전북일보가 공동 주최하고,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혁신사업단, 전주캠퍼스 RISE사업단, 교육발전지원센터가 주관했으며, 전북특별자치도와 완주군이 후원했다.
이강모 기자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