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회가 30년만에 부활된지 12년이 지나고 있다.
지난 12년동안 지방의회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기틀을 다지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 왔고 괄목 할 정도로 성장을 거듭해 오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런데 부안군 의회는 방폐장 유치 백지화를 주장하며 김종규 군수와 김형인 군의장의 사퇴를 요구하며 이같은 사안이 관철 되지 않을 경우 10명의 군의원은 무기한 등원거부를 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시점에서 부안군은 관계법에 따라 임시회의 소집 요구에 나섰다.
이에 부안군의회는 오는 18일 임시회의 소집 공고를 거쳐 개인별로 통보하기에 이르렀다.
이같은 사안에 대해 등원거부 의사를 표명한 의원들은 어떻게 받아 들이고 있을지 몰라도 의원의 직분과 역할에 대해 망각하지 않기를 먼저 당부하고 싶다.
의원이 의회를 등지고 의원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다하지 못한채 힘의 논리에 빠져 무기한 등원거부 논리를 피력하는 것보다 정당성의 논리와 대안을 갖고 의회에서 해법을 찾아 주길 간곡히 기대해 본다.
주민의 대의 기구라고 자칭하는 의원들 스스로가 열린 의회를 떠나 외부세력과 결집하여 의회와 집행부를 혼란과 마비로 몰아가는 것이 주민을 위한 중대 결단으로 생각하는 것은 훗날 씻을수 없는 오점으로 남을 것이다.
물론 주민을 무시하고 의회를 경시한 김종규 군수의 독단적인 방폐장 유치 결정을 지적하고 비토하는 것은 의원으로서 본연의 임무라고 생각한다.
이제 임시회 소집이 공고되고 개개인에게 통보된 이상 민주적 절차를 논하는 의원들 스스로가 중립적 입각에서 군민의 화합과 부안사태의 해결방안을 의사당에서 논의하고 촉구해 주길 군민들은 갈망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 주길 바란다.
특히 작금의 부안사태를 지켜 보는 주민들은 한결 같이 지역사회 갈등 해소와 주민간 화합을 위해 지방의회가 주민의 대변자 역할을 충실히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