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딱따구리] 분출구 사라진 '핵'분노

 

부안은 지금 '경찰 계엄' 상태다. 과격시위가 최고조에 달한 지난 19일 이후 정부의 엄정대처 방침에 따라 사상 최대의 경찰병력이 부안에 주둔하고 있다. 인구 6만8천명의 부안에 75개 중대 8천여명의 경찰력이 투입됐다. 지난 7월이후 4개월째 방폐장 반대시위가 이어진 부안읍에는 '집회 원천봉쇄령'이 내려졌다. 인구가 불과 2만3천명인 이곳에만 5천여명의 경찰력이 집중돼 있다.

 

주요 기관과 거리마다 파이버(방석모)와 진압복으로 무장한 경찰뿐이다. 곳곳에서 경찰의 과잉진압에 항의하는 주민들도 적지않다. 산발적으로 핵반대 구호가 들려오지만 무기력하기 그지없다.

 

화염병과 쇠스랑이 난무했던 극렬시위는 원천봉쇄라는 불가피한 정부의 초강경대응으로 이어졌다. 이는 궁극적인 부안사태 해결과는 거리가 멀다.

 

주민의 분노는 어떠한 해법도 제시하지 못한 정부를 '타겟'으로 삼고 있지만, 정부는 예나 지금이나 메아리없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성난 민심은 분노로 치닫고 시위의 과격성으로 표출됐다.

 

하지만 '폭력성'은 여론의 냉엄한 심판아래 그들의 정당성마저 흔들어놨다. 한때 평화롭던 '촛불집회'였지만 전쟁터를 방불케하는 과격양상에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않다.

 

헌법에도 보장된 집회·시위지만 폭력동원이 만연되면서 이를 '눈엣가시'로 여기는 사람들의 시선이 고울리 없다. 자극성에 몰입된 '뉴스 밸류'에 일부 호도된 측면을 배제할 수 없지만 명분있는 시위라도 폭력성으로는 정당화될 수 없다. 정부가 부안의 치안안정을 위해 사상 최대규모의 경찰력을 배치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문제는 이는 궁극적 해법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성난 민심을 잠시 잠재울 수는 있어도 이는 표면적일 수 밖에 없다. 거리로 나 앉아야했던 지난 4개월, 이들의 분노를 틀어막고 귀가를 강제 종용하다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분노로 표출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부안 주민은 진정으로 '방폐장 유치 백지화'를 원하고 있지만, 정부의 사태해결 의지도 아쉬운 게 사실이다. 정부는 하루빨리 사태의 본질에 접근, 조속한 해법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안태성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사건·사고경찰, ‘전 주지 횡령 의혹’ 금산사 압수수색

정치일반‘이춘석 빈 자리’ 민주당 익산갑 위원장 누가 될까

경제일반전북 농수축산물 신토불이 대잔치 개막… 도농 상생 한마당

완주‘10만490명’ 완주군, 정읍시 인구 바싹 추격

익산정헌율 익산시장 “시민의 행복이 도시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