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희준 기자(부안주재)
부안군 김모 전 자치행정과장의 경질인사를 둘러싸고 ‘보복인사’논란이 일고 있다. 이번 인사 행태는 ‘사안이 적절한가’라는 차원을 넘어 ‘부안군 인사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가’라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게 한다.
공직사회 일각에선 이번 인사가 감사에 지적될 수 있는 상황에다 공무원 인사원칙을 뒤틀 만한 일로 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횡포도 이만저만한 횡포가 아닌 셈이다.
보복 인사’의혹을 받고 있는 부안군은 인사에 대한 명확한 이유는 밝히지 못하고, 그저 후속인사를 하기 위한 인사였다고만 우회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번 인사를 놓고 부안군 사무관급 공무원들이 혼란스럽고 크게 흔들리고 있다고 하니 이번 인사가 정상적인 인사가 아니란 걸 단적으로 보여준다.
일부 사무관급 공무원들은 “이같은 인사는 그만두라는 의미와 같다”며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반응이다.
이들은 또 “지난달 기획감사실장을 부안읍장으로 인사발령한 것은 ‘보복’에 가까운 좌천 인사”라고 반발하고 있고 특히 전 군수시절 사무관으로 승진해 행정자치부 교육을 수료하고도 승진을 하지 못하고 있는 9명의 사무관들은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병학 부안군수는 민선4기 군정방침에서 군민대화합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그 실질은 핵폐기장 찬·반과 전 군수사람을 분류해 인사에 반영하겠다는 것에 지나지 않은 셈이다.
이 때문에 이 군수가 무죄로 석방된지 20여일이 채 되기도 전에 ‘역대 최악의 군정’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공직사회 안팎에서‘보복인사’ 논란이 제기된 만큼, 전말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이뤄져야 한다. 부안군은 지금 ‘일보전진’과 ‘10보후퇴’의 기로에 서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