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태성 기자(정치부)
웅포골프장이 또다시 시끄럽다.
골프장 조성 추진 단계에서는 인근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전면 백지화 논란이 일더니 일부 공사가 마무리돼 시범라운딩에 까지 들어간 웅포골프장이 무리한 공사로 주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한 치의 양보 없는 대치 국면이 벌써 수 년 째다.
이번 쟁점의 핵심은 야간 발파 여부. 비용 절감을 위해 공기를 단축시키려고 불법으로 야간에 발파 작업을 해왔다는 것이 웅포골프장 피해대책위의 주장이고, 이에 사업 시행사인 웅포관광개발측은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맞서고 있다. 진실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대책위는 야간 발파로 소음과 균열 등의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증언을 토대로 익산경찰서에 민원까지 제출하면서 까지 단단히 벼르고 있지만, 웅포관광개발측은 오히려 야간에 발파를 하고 싶어도 일할 인부가 없다며 대책위의 주장에 시큰둥하고 있다. 주민들의 절박한 심정은 아랑곳하지 않은 채 다소 여유까지 보이기도 했다.
대책위 주장대로 라면 발파 작업으로 인해 웅포면 웅포리, 입점리, 송천리 등 공사장 인근 3㎞이내 300여 가구가 균열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1년 넘게 공사가 계속되면서 분진과 소음 때문에 주민들이 창문조차 열 수 없었다고 하소연하고 있지만, 시행사는 아예 체념한 듯 한 자세다.
중재에 나설 누군가의 힘이 절실한 대목이다. 하지만 관리감독기관인 전북도나 익산시 역시 손을 놓고 있다. 주민들이 불만스러워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행정기관에 거는 기대치 또한 큰 만큼 은폐 주장까지 나온 야간 발파에 대한 사실 규명은 반드시 이뤄져야 할 점이다. 게다가 ‘관리 감독 기관의 묵인이 없었다면 무리하게 공사할 수도 없었을 것’이라는 피해 주민들의 궁금증도 말끔히 해소시켜줘야 한다. 상생을 위한 갈등의 치유는 행정 기관의 역할에 달려있다. 주민들의 피해 예방에 나서고 한치의 의혹 없는 정당한 사업 추진을 위해 적극 나서야 할 때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