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와 교과로 정복하는 논술(66) - 제시문
■ 생각의 폭을 넓히자 - 제시문
【가】다음은 온실효과에 대한 두 학생의 의견이다.
A: 화석연료의 사용량이 늘어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가 증가 되면서 지구가 더워지고 있대, 기상이변이나 해수면이 높아지는 등 지구의 앞날이 매우 걱정돼.
B: 꼭 그렇게만 볼 수 없어 다음자료를 봐. 지구에 이산화탄소가 많아지고 온도가 상승하면 광합성량이 늘어나 생산량이 증가하지 않겠어?
- 고등학교 과학/ 이규석 외 7인/ (주)미래앤컬쳐그룹/ Ⅳ. 생명, 1. 물질대사
【나】지구온난화와 먹을거리 위기에 대해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지구온난화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 위험의 원인일 것이다. 바다는 이미 아열대화가 진행되어 명태와 대구와 같은 한대어종은 자취를 감췄고, 온대어종인 오징어가 풍어를 이룬다. 문제는 먹지 않은 보라문어를 비롯해 아열대와 열대어류가 속속 올라올 뿐 아니라, 아무르 불가사리나 노무라 입깃 해파리 떼들이 출몰해 어업을 방해하고 어부들을 위험에 빠뜨린다는 것이다. 수온이 변함에 따라 바다에 해조류가 달라붙지 않은 백화현상이 만연하고 해조류가 없는 바다에서 먹이와 알 낳을 장소를 찾지 못하는 물고기들이 사라지는 현상은 이제 일상이 되었지만, 대형 선단을 동원하여 알을 가진 생선까지 싹 쓸어 잡는 자본의 남획은 그칠 줄 모른다.
육지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가 즐겨 먹는 품종의 사과나무가 남쪽 지방에서 통 자라지 못한다. 이젠 예전에 어림도 없던 강원도 홍천에 사과나무를 심어야 제대로 수확할 수 있다. 감나무 북방 한계선은 자꾸 올라가 이제 북한 지역에서 감을 가져와야 할 날이 멀지 않았다. 어떤 이는 우리도 열대 과일이나 작물을 심자고 제안하지만 농작물의 재배 환경은 그리 간단하게 변하는 게 아니다. 보수적인 식습관 때문만이 아니다. 어릴 적부터 익숙해진 음식을 간단히 포기할 사람은 흔치 않을 테지만, 그보다 농작물이 싹터 열매를 맺는 때까지 영향을 주고받는 생태계의 복잡다단한 관계를 사람이 결코 재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지구를 생각한다 P177-178/ 김수병외 3인/ 해나무
【다】
지난 150여 년간 식량생산이 증가하게 된 또 다른 이유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대양은 기온이 올라가면서 이산화탄소를 내놓게 된다. 증가한 이산화탄소는 식물에게 비료가 될 뿐만 아니라 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7년 농무성의 연구원들이 긴 플라스틱 터널에 이산화탄소 농도를 빙하기 때의 200ppm으로 시작하여 1980년 수준인 350ppm으로 다르게 하여 밀을 재배하였다.
그 결과는? 물이 충분히 주어졌을 때 이산화탄소 농도가 100ppm 증가하면 밀 생산이 7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 가뭄의 조건에서는 48%의 증가를 보였다. 이것을 평균하면 60%의 증가가 되는 것이다. 이는 12개국 이상에서 많은 다른 종류의 작물을 가지고 실험한 다양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의 연구들과 그 결과가 일치하는 것이다.
오늘날 인간들의 식량생산은 완만한 기후 변동보다는 농업 기술에 훨씬 더 의존하고 있다. 살충제와 방충망이 있는 상황에서 우리가 말라리아를 걱정하지 않은 것처럼, 지금의 온난화로 기근이 생겨 우리가 굶주릴 것이라는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 사실 세계가 18세기 이후 점차 누리고 있는 식량 과잉은 근본적으로 과학과 기술의 향상 때문이다.
1500년에 영국은 백만 명이 채 못 되는 인구를 먹일 수 있었다. 1850년경이 되자 작물의 돌려짓기가 알려지고 씨 뿌리는 기계와 수확 기계 등 농기계들이 향상되면서 영국은 1,600만 명을 먹일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영국은 6,000만 명의 영국인을 먹일 수 있다.
- 지구온난화에 속지 마라 P176-177/ 프레드 싱거, 데니스 에이버리/ 동아시아
■ 논술문 작성하기 - 생각 정리
≪논제≫ 제시문 【가】를 참고하여 제시문 【나】와 【다】의 주장 중에서 자신이 지지하는 하나의 관점을 선택한 후 그 근거를 제시하고, 나머지 관점을 반박하여 논술하시오.
- 제시문 【가】를 참고하여 제시문 【나】의 온난화에 의한 식량부족 문제 발생의 주장과 제시문 【다】의 온난화에 따른 식량부족 문제 해결의 주장 중에서 자신이 지지하는 하나의 관점을 선택하고, 이를 선택한 근거를 제시한 후 나머지 관점을 반박한다.(900자 내외)
- 논술문 보낼 곳(E-메일) : chyb01@paran.com(01은 숫자)
■ 어떻게 설득할까 - 토론하기
≪논제≫ 제시문 【나】와 【다】의 주장 중에서 어느 것에 동조하는가? 그 근거와 이유에 대해 토론하시오.
- 제시문 【나】와 【다】에 주장 중에서 자신이 동조하는 것을 서로 나누어, 예상 반론을 생각하면서 토론한다.(600자 내외)
■ 어떤 것이 출제됐나
지구촌에서 인류가 사고하는 관점은 다양하다. 그러나 시대와 공간에 따라서는 어느 한쪽으로 쏠리기 도 한다. 지구온난화를 둘러 싼 서로 다른 관점이 그렇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온실가스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는 지구 내부가 아니라, 지구 외부의 원인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주장도 있다. 즉, 여태까지 우리가 접한 일반적인 주장과 달리 지구 온난화는 지구 내부의 원인이 아니라 지구 외부에 원인이 있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관점은 국가, 국제기구, 학자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뜨거운 논쟁거리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따른 결과를 예측하는 부분에서도 주장이 다르다. 지구 온난화가 식량 위기를 가져온다는 주장과, 지구온난화가 식량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그것이다.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해 기온 상승과 하강을 저지하기 위한 노력은 국가를 막론하고 전 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다. 기온이 변화함으로 인해 어떤 지역은 고온과 대홍수, 또 다른 지역은 추위와 극심한 가뭄을 겪을 것이며 생태계까지도 완전히 뒤바꿔 놓을 것이다. 이는 인류의 생명과 지구의 안위를 위협할 것이며, 우리는 결국 후손의 생존 터전과 목숨까지도 잃게 할 것이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환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실천하고 행동한다면 우리의 미래는 달라질 것이다. 이렇게 환경 문제에 대해 성찰과 반성을 해보자는 것이 이번 논제의 의도이며, 아래의 대학 기출 문제들이 이와 관련된 논제들이다.
■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 - 토론 거리
≪지구온난화의 원인≫
- 지구온난화는 지구 내부의 문제인가?
- 지구온난화는 지구 외부의 문제인가?
- 지구온난화는 인간의 힘으로 해결이 불가능한가?
≪식량 부족문제 발생≫
- 기온 상승으로 생태계는 파괴되는가?
- 기온 상승에 따라 나타나는 식량 생산의 감소를 방지할 수는 없는가?
- 기온 상승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나타나는 토양의 침식을 방지할 수는 없는가?
≪식량 부족문제 해결≫
- 기온의 상승으로 생태계는 건강해지는가?
- 기온 상승에 따라 나타나는 식량 생산의 증가는 일어날 수 있는 일인가?
- 지구온난화로 식량 부족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는가?
■ 어떤 교과와 관련됐나
- 도덕 Ⅰ. 현대 사회와 도덕 문제
- 사회 Ⅳ. 환경 문제와 지역 문제
- 과학 Ⅵ. 환경
- 사회·문화 Ⅴ. 현대 사회와 사회 문제
- 인간사회와 환경 Ⅰ. 인간사회와 환경의 구조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